[이창현의 건강칼럼] 비만이 생기는 수면시간이 있다?

편집국 / 기사승인 : 2024-11-01 08:42:44
  • -
  • +
  • 인쇄

[메가경제=편집국] 최근 연구된 보고에 따르면 수면 시간과 비만 간의 관계가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Obesity in Korean Adults" 2022 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수면 부족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대사증후군 및 비만관리를 위해 수면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알려 주고 있다.

 

▲ 사진=PIXEL

 

비만은 단순히 체중 문제를 넘어서 심혈관 질환, 당뇨병, 그리고 여러 종류의 암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해외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인의 생활 방식은 수면 부족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으로 수면 시간을 줄이고 있는데, 이로 인해 비만과 같은 건강 문제에 심각하게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인 성인에서 비만 유병률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복부 비만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충분한 수면이 신진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체중 조절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렙틴은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반면, 그렐린은 식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면이 부족할 경우 렙틴 수치는 감소하고, 그렐린 수치는 증가하여 과식을 유발하는 것이다.

 

▲ 사진=PIXEL

 

또한, 수면 부족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수치를 높여 체지방 축적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비만의 또 다른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특히 복부 비만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부족은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생활습관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수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비만 예방은 물론,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WHO(세계보건기구) 애서는  하루 7-8시간의 수면을 권장하며, 일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수면 환경을 개선하고, 특히 침대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는 등의 노력이 절실하다.

 

▲ 사진=PIXEL

 

아울러 비만 예방을 위한 공공 건강 전략에 수면의 중요성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부와 보건당국은 비만 예방 캠페인에서 건강한 수면 습관을 강조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 또한 수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실천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비만은 단순한 체중 문제로 볼 수 없으며, 수면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건강한 수면을 통해 비만 문제를 예방하고, 나아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이어트를 하고자 하거나 체중을 유지하려는 사람은 수면을 필수 조건으로 삼아야 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