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 투자…"AI 3대 강국 비전 동참"

황성완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7 09:10:28
  • -
  • +
  • 인쇄
최태원 회장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 규모 투자"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그룹이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하고, 국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비전 실현에 동참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17일 재계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원래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룹은 AI 확산과 메모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반도체 투자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투자 규모도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 첨단화로 당초 계획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용인 클러스터에 계획된 4개 팹이 모두 완공될 경우 투자 규모는 6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팹 1기만 해도 청주 M15X 6기를 합친 수준의 초대형 생산라인으로, AI 시장 확대에 따른 고성능 메모리 공정 수요 증가가 설비 확충을 이끄는 배경으로 꼽힌다. 그룹은 반도체 수요와 업황에 맞춰 팹 건설 속도는 조절하면서 용인 클러스터 내 4개 팹 구축 계획은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고용 확대도 병행된다. 현재 SK그룹은 매년 8000명 이상 신규 채용을 이어가고 있다. 그룹 내부에서는 반도체 팹이 완공될 때마다 최소 2000명 이상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팹 규모와 가동 속도에 따라 팹 1기당 직·간접 고용효과는 1만4000명에서 최대 2만명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SK하이닉스는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함께 8600억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구축 중이다. 12인치 웨이퍼 기반의 개발·실증 플랫폼으로, 소부장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 스타트업 등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비영리 재단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AI 인프라 투자는 지역으로 확장된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AWS와 협력해 울산에 100MW급 하이퍼스케일 'SK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다. 2027년 상업 가동 시 동북아 AI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K그룹은 이와 별도로 오픈AI와 함께 한반도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건립도 검토 중으로, 국내외 파트너와 협력해 AI 인프라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IBK기업銀, 초기 지원기업 ‘큐리오시스’ IPO성공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IBK벤처대출을 지원받은 바이오 소재·부품 장비기업 큐리오시스가 지난 13일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다고 17일 밝혔다. IBK벤처대출은 벤처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받은 스타트업에게 저리로 대출을 지원해 주고 은행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워런트를 활용해 향후 기업가치 상승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투·융자 복합 상품이

2

“성수동 한복판에 등장한 대형 호찜이”...SPC삼립, 무신사와 손잡고 팝업 스토어 오픈
[메가경제=심영범 기자]SPC삼립이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손잡고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무신사 스토어 성수 대림창고에서 ‘삼립호빵X무신사 무진장’ 팝업 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무신사의 ‘무신사 무진장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운영된다. 무신사 스토어 성수 대림창고에서는 호빵 찜기 ‘호찜이’를 모티브로 한 ‘대형 호찜이’ 부스가 운영된

3

"올 겨울은 헤어리"...CJ온스타일, 퍼·양모 텍스처 패션 매출 134% 올라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올겨울 결감이 살아있는 ‘헤어리(hairy)’ 텍스처 아우터가 급부상하고 있다. CJ온스타일은 지난 4일부터 12일까지 ‘2025 겨울 패션위크’ 매출을 중간 집계한 결과, 퍼·양모 등 헤어리(hairy) 텍스처 패션 매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F/W(가을·겨울) 시즌은 소재 표면의 결감과 볼륨을 강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