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업체 기프티콘 매장 사용시 '홀비' 요구...소비자 불만 여전

김형규 / 기사승인 : 2024-01-18 08:33:10
  • -
  • +
  • 인쇄
내점 서비스 비용 5000원 추가...지난해 '상차림비' 논란 연장선
본사, 1000~2000원 권고하나 점포별 차이..."점주에 강요 못 해"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대형 프랜차이즈 치킨 매장에서 서비스 이용료를 추가로 요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소비자 불만이 제기됐다. 이 치킨 프랜차이즈는 지난해 3월에도 같은 내용의 '상차림비' 논란을 겪은 바 있다. 본사 측은 점주 재량 사안으로 강요할 수 없는 문제라며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 기프티콘 상품설명.

 

18일 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주요 커뮤니티 및 일부 유명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BBQ치킨 매장 내 기프티콘 사용 시 추가 이용료 5000원을 내야 한다"는 내용이 확산하고 있다. 기프티콘은 카카오톡 안에서 거래되는 브랜드 선물 쿠폰이다. 편리성으로 인해 널리 통용되고 있다.
 

지난 8일부터 15일 사이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BBQ치킨 어이없다", "BBQ치킨 기프티콘 안 받냐", "BBQ치킨 매장 식사 5000원 문제점" 등 제목의 게시물들이 연이어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들은 BBQ치킨 기프티콘을 점포 내에서 사용했더니 최소 3000원에서 많게는 5000원까지 홀 이용료를 내야 했다며 불만 섞인 후기를 담고 있었다.

또한 일부 매장이 기프티콘 주문 자체를 기피하는 것 같다는 사연도 올라와 점주들의 기프티콘 부담에 대한 의혹도 불거졌다.

이에 댓글 창에는 "배달로 시키면 매장에서 차리고 치우는 인건비가 사라지기 때문에 무료로 배달해주던 거라 처음 배달비라는 게 생길 때 반발이 있던 거 아니었나", "이제 포장은 '포장비', 배달은 '배달비', 홀에서 먹으면 '홀비'를 받나", "기프티콘이 할인가도 아니고 정가인데 왜 저러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들이 잇따랐다.
 

 

앞서 BBQ치킨은 지난해 3월에도 같은 논란을 겪은 바 있다. 일부 BBQ치킨 소비자들은 매장에서 기프티콘을 사용할 때 2000~4000원 가량 상차림비 명목 추가금을 요구받았다며 불만을 제기했었다.

이에 당시 BBQ치킨 측은 "점주가 기프티콘에 대해 포장‧배달만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해야 하지만 응대 과정에서 오해가 생긴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었다.

고객을 돌려보낼 수는 없으므로 상차림비 명목으로 추가금을 받았다는 취지였다. 이후 BBQ치킨 본사는 상차림비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있다.

하지만 1년 가까이 지난 현재까지도 BBQ치킨 일부 점포의 '매장 이용료' 후기가 지속되자, 업계에서는 기프티콘 사용 조건 안내가 부실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본지 취재 결과 BBQ치킨 기프티콘 상품설명란에는 '배달‧포장‧내점 사용 가능'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해당 안내 바로 밑에 "단, 본 쿠폰으로 매장 내 취식 시 추가금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작게 적혀있었다.

이와 관련해 BBQ치킨은 매장 내 가격이 서비스비를 포함해 더 비싸므로 점주 재량껏 추가금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에 따르면 같은 메뉴의 매장가는 배달 이용 가격보다 평균 1000원가량 비싼 편이다.

다만 일부 점주가 1000원보다 추가금을 더 올려 받는 걸 막거나 특정 가격을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게 BBQ치킨의 입장이다.

BBQ치킨 관계자는 "본사가 점주에 특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에 강제성 관련 신고가 들어가 법적제재를 받을 수 있다"며"이에 점주들에게 추가금 명목은 1000~2000원 선으로 권장하지만, 일부 점주가 더 많이 받기도 해 본사도 난처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기프티콘에 대한 점포 부담이 커서 점주가 이를 기피한다는 의혹에는 "정확한 수치를 밝힐 수는 없으나 BBQ치킨 본사는 점주들에게 업계 최저 수준의 기프티콘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고, 이 부분은 점주들도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제조 원가 상승 부담을 치킨 가격이 아우르지 못하는 현상이 이러한 논란의 원인이라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 2018년에는 1만8000원이던 치킨값이 지금은 2만원이 됐다. 하지만 5년간 치킨값이 2000원 오르는 사이 가스비는 두 배 가까이 오르고 최저임금도 2500원 이상 상승했다"고 말했다.

또 "2018년 당시 없었던 배달 플랫폼 중개 수수료는 10~17%에 달하고 배달 라이더 비용은 거리 따라 6000원에서 1만원까지도 늘어나는 실정"이라며 "점주들이 시대 흐름을 따르려 부담하는 비용만큼 치킨 판매가를 올리기 어려워 생기는 문제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스템임플란트, 정보보호 국제표준 ‘ISO 27001’ 인증 획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오스템임플란트(대표 김해성)가 정보보호 관리체계 국제표준인 ISO/IEC 27001:2022(ISO 27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에 이어 국내 치과업계 최초로 ISO 27001까지 연이어 획득한 성과다.ISO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

2

더벤티, ‘매들리 메들리 2025’ 공식 스폰서 참여…브랜드 부스 운영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커피 프랜차이즈 더벤티가 오는 10월 18~19일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리는 뮤직 페스티벌 ‘매들리 메들리(MADLY MEDLEY) 2025’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한다.‘매들리 메들리’는 2014년 랩비트 페스티벌로 시작해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국내 대표 음악 축제로 자리 잡았다. 올해는 더벤티의 전속 모델인 G-DRA

3

GS25, KT&G와 손잡고 ‘릴 하이브리드 3.0 X GS25’ 한정판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유통업계 최초로 KT&G와 협업해 전자담배 디바이스 ‘릴 하이브리드 3.0 X GS25’ 한정판을 선보인다.이번 한정판은 GS25의 시그니처 컬러인 블루 계열을 기반으로 2030 세대의 선호도를 반영한 톤다운 디자인이 특징이다. 총 4만8000대(2종, 각 2만4000대)가 한정 판매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