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 기업 임원 수, 코로나19 한파에 10년 전 수준 돌아가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10-20 18:06:44
  • -
  • +
  • 인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올해 국내 100대 기업의 임원 수가 10년 전 수준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70년대생 임원 비율이 처음으로 30%대를 돌파하며 세대교체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자료=유니코써치 제공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국내 상장사 중 매출액 상위 100곳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임원 수는 지난해보다 207명이 감소한 6664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2년 새 268명의 임원이 짐을 싼 것이다.

김혜양 유니코써치 대표는 “올해로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2년 차에 접어들면서 유통업체 등을 중심으로 긴축 경영을 하려는 경향이 강해져 임원 수를 줄이는 기업들이 많아졌다”면서 “올 연말부터 발표될 2022년 임원 인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임원 수가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중 CEO급에 해당하는 사내이사 등기임원은 총 324명으로 파악됐다. 이들 가운데 1960~1964년에 출생한 세대가 절반 가까이 차지하면서 가장 많았다.

이 중 1962년생 출생자는 35명으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해 한종희 삼성전자 사장, 하언태·장재훈 현대차 대표, 송호성 기아 대표, 고정석·오세철 삼성물산 대표, 박종욱 KT 사장,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황성우 삼성SDS 대표 등이다.

1970년 이후 출생한 등기임원 중에서 1970년생은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등 16명으로 가장 많았다. 

 

▲ 자료=유니코써치 제공

임원들의 세대교체 경향도 나타났다.

100대 기업 내 1960년대생 임원 비중은 2018년 76.4%에서 2019년 74.1%, 지난해 68.7%, 올해 62.9%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조사 대상 대표이사 가운데 최연장자는 1939년생인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이며, 최연소는 1983년생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등기임원까지 조사 범위를 넓히면, 정재림 KCC 이사대우와 정두선 현대종합상사 상무가 1990년생으로 100대 기업 임원 중 최연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