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5년 고용 보장 약속 어기고 경영실패 전가"
![]() |
▲ 하이투자증권 사옥 [사진=하이투자증권 제공] |
증시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일부증권사들이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한 가운데 DGB금융그룹 계열 하이투자증권이 희망퇴직에 나서자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사측이 5년 고용보장 약속을 어기고 경영실패를 전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2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다음주 5일부터 8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는 공문을 보냈다.
대상은 △67년생 이상(56세) △근속연수 20년 이상 △2급 부장급(최소 18년차 이상) 이상이다. 희망퇴직금은 정년까지 남은 근속연수의 60%에 대해 지급된다. 최대 36개월 급여분을 지급한다. 희망퇴직금과 별도로 생활안정기금을 1000만원에서 5000만원까지 별도 지급할하고, 희망할 경우 전문영업직으로 재취업이 가능하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난해에도 인력구조 효율화를 위해 1962~1966년생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한 바 있고, 올해 대상자 범위는 더 확대됐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DGB금융지주에서 인수 당시 5년 고용보장 약속을 어겼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DGB금융지주는 기존 대주주인 현대중공업으로부터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한 2018년 10월 노사 대표자(하이투자증권 사장, 노조 지부장) 등 3자가 참여한 고용안정협약 합의서를 작성했다.
합의서에는 ‘회사는 본 건 대주주 변경 이후 향후 5년간 해고 등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노조는 "작년 회사의 어려움을 감안해 대승적으로 50대 이상 임직원에 대한 희망퇴직 실시를 양해해줬는데도 또다시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것은 회사 경영진의 경영실패 책임을 노동자들에게만 고통을 전담시키는 처사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에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으면 사실상 저성과자들을 모아놓은 ‘디지털케어팀'으로 대상 노동자들을 배치할 수 있어 구조조정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하이투자증권 측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인력구조 효율화를 위해 고연령, 고직급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며 "완전 자율에 따른 희망퇴직이다"고 강조했다.
근래 중소형 증권사들은 고정비 지출을 막기 위해 인력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수년간 유동성 호황기에 막대한 수익을 벌어들였지만 돈줄이 마르고 실적도 악화하자 조직 축소와 감원, 사업 정리 등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계속 나아지지 않으면 대형사들도 감원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조직축소, 감원 등에 따른 갈등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케이프투자증권은 리서치센터와 법인영업부 사업을 철수하기로 했다. 이들 부서에 소속됐던 임직원 약 30명 가운데 일부는 재계약 대상에서 제외됐고, 몇몇 직원은 재계약 전에 스스로 퇴사했다.
다올투자증권도 정규직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했는데 경영 관련 직무에서는 상무급 이상 임원 전원이 사직서를 냈다. 이들의 재신임 여부는 이달 말 예정된 재계약 과정에서 결정될 방침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