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3일 민주노총 집회' 참가자 3명 확진...질병청, 전원 진단검사 행정명령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7-18 01:14:08
  • -
  • +
  • 인쇄
당시 서울 종로 일대서 8천명 규모 노동자대회 개최

방역당국이 지난 3일 민주노총 집회 참석자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 행정명령을 내렸다.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인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7일 밤 7월 3일 민주노총 노동자대회 참석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집회에 참석한 민주노총 관계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 행정명령을 발령했다고 밝혔다.

 

▲ 지난 3일 오후 종로3가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노동법 전면 개정 등을 요구하며 도로를 점거한 채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7월 3일 노동자 대회 이후 지자체 및 민주노총과 함께 집회 참석자 중 확진자 발생에 대해 지속 감시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16일 지표환자 확진 이후 동료에 대해 검사를 실시한 결과 17일 2명이 추가되어 현재까지 총 3명이 확진됐다”며 “금일 역학조사 결과 3명 모두 3일 민주노총 집회 참석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방대본은 “코로나19 예방과 전파 차단을 위해 해당 노동자대회 참석자들은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신속한 진단검사 참여로 추가 전파를 최소화하는 데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방대본은 확진자들에 대한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경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후 김부겸 국무총리는 총리실을 통한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세가 엄중한 가운데, 수차례 자제를 요청했던 민주노총 노동자대회 참석자 중 확진자가 나온 것에 대해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으로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그러면서 “지난 노동자대회 참석자 전원에게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가까운 선별검사소를 찾아 즉시 진단검사를 받아줄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2일 여의도에서 노동자대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경찰이 차벽을 치는 등 봉쇄하자 3일 오후 종로 일대에 모여 기습 시위와 행진을 강행했다.

당시 민주노총 자체 추산 8천명의 조합원들은 장맛비 속에도 약 2시간 동안 ‘비정규직 철폐하라’, ‘구조조정 중단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일부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경찰은 그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이 본부장을 맡는 52명 규모의 특별수사본부(특수본)를 편성해 해당 도심 집회에서 발생한 불법행위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특수본은 집회 주최자와 주요 참가자들에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 위반, 일반교통방해 등 혐의를 적용할 방침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