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 '여행금지' 긴급 발령..."체류 국민은 즉시 철수해야"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2-12 01:16:09
  • -
  • +
  • 인쇄
한국시간 13일부터 적용...강제적 조치로 철수하지 않으면 처벌 가능

정부가 러시아와 일촉즉발의 군사적 위기 상황을 맞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 대해 법적 강제성이 있는 ‘여행금지‘ 조치를 내렸다.

외교부는 11일 “한국시간으로 13일 0시(우크라이나 현지시간 12일 오후 5시)부터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를 긴급 발령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달 25일 우크라이나 남·동·북부 12개 주(州)의 여행경보를 바로 아래 단계인 3단계 ‘출국권고’로 한 차례 상향 조정한 바 있다.
 

▲ 정부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여행경보단계 조정 현황. [외교부 제공]

이번 여행금지 조치는 급격한 우크라이나 현지 상황 악화에 대비한 정부 차원의 예방적 조치다.

외교부는 “현지 체류 중인 국민들께서는 가용한 항공편 등을 이용해 안전한 제3국이나 한국으로 긴급 철수해 주시고, 우크라이나로 여행 예정인 국민들께서는 여행 계획을 취소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항공편과 육로를 이용한 출국방법 등에 대해서는 ‘주우크라이나대사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시고, 출국 계획과 출국 사실에 대한 정보 등은 우리 대사관에 통보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이날 유사시에 대비한 국민 대피·철수와 기업 피해 최소화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도 구성했다.

여행경보 4단계 ‘여행금지’는 정부가 운영하는 여행경보 제도 가운데 최고 단계로, 권고 성격의 1∼3단계와 달리 법적 강제성이 있는 조치다.

4단계 발령에도 불구하고 현지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여권법 등 관련 규정에 따른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정부는 이라크, 소말리아, 아프가니스탄, 예멘, 시리아, 리비아 등 6개국과 필리핀 일부 지역 등 정세가 극히 불안한 지역들에 여행금지 조치를 내리고 있다.

11일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현지 체류 우리 국민은 공관원을 포함해 341명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SKT, 3분기 영업익 484억원…전년比 90.9%↓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 3조9781억원, 영업이익 48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3분기에는 ‘고객 감사 패키지’ 시행 등의 영향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12.2%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90.9% 감소했다. 별도 기준 매출은 2조6647억원, 영업손실 522억원, 당기순손실 2066억원으로 집계됐다. 유무선

2

최수연 네이버 대표 "디지털 로컬 생태계 성장 위해 기술 지원 높일 것"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가 APEC 행사가 개최되고 있는 경주에서 로컬 사업자들과 만나, 디지털 생태계에서 로컬 콘텐츠가 갖고 있는 다양성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강조했다고 30일 밝혔다. 최 대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로컬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로컬 SME와 콘텐츠가 지역 대표 브랜드와 상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교육 및 기술,

3

LG CNS, 3분기 누적 영업익 3399억원…전년比 8.7%↑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 CNS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1조5223억원, 영업이익 1202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5.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8% 감소했다. 누적 매출액은 4조1939억원, 영업이익 3399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9%, 영업이익은 8.7% 증가했다. LG CNS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