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8년간 매년 초중고 학생 1만명에게 경제교육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6-20 08:44:26
  • -
  • +
  • 인쇄
금감원 주관 ‘1사 1교 금융교육’일환
결연 초·중·고교서‘한화생명 경제교실’운영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한화생명(대표이사 여승주)이 8년간 전국 초·중학교 학생 8만명에게 금융지식을 전파했다. 기초경제부터 저축, 금융 투자 개념 강의, 모의투자 체험, 그리고 ‘온라인 금융골든벨’ 도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2015년 ‘1사 1교 금융교육’을 시작한 지 8년만에 전국 초·중학교 학생 8만명에게 금융지식을 전파했다고 20일 밝혔다.
 

▲한화생명은 2015년부터 금감원 주관 ‘1사 1교 금융교육’의 일환으로 결연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경제·금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13일 열린 ‘한화생명 경제교실’에 대구 와룡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사진=한화생명]

1사 1교 금융교육은 금융감독원이 주관하는 금융사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초·중·고교와 결연해 학생들에게 금융 교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2015년 첫해부터 이달 20일까지 전국 697개 학교의 8만 558명이 ‘한화생명 경제교실’에 참여했다. 올해는 20일 기준 31개 학교 2595명이 수업을 받았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1만 2505명, 2021년 1만 2531명 등 8년간 매년 평균 1만 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금융·경제교육을 시행해왔다.

한화생명은 2015년 1사1교 금융교육 출범 이후 2016년부터 매년 전국의 초·중·고교 100여 곳과 결연해 ‘한화생명 경제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금융·경제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실생활에서 합리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취지다.

주요 수업 내용은 저축과 투자의 개념, 금융투자의 종류, 신용 및 위험관리의 중요성 등이다. 일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의 종류를 살펴보고 모의투자 체험 시간도 가지면서 학생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대면교육뿐만 아니라 지난해부터는 ‘온라인 금융골든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각 학기 방학 때마다 전국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자체 웹 페이지에서 라이브 퀴즈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금융상식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지난 13일 대구 와룡초등학교에서 열린 한화생명 경제교실에 참석한 김민경(6학년) 학생은 “평소 어떻게 저축을 해야 하는지 궁금했는데, 통장의 종류와 개설 방법 등 오늘 배운 내용을 유용하게 활용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화생명은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은 만큼 올해 하반기부터 교육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교육 콘텐츠를 강화하고 경쟁력 있는 경제교육 전문 강사를 양성해 교육 만족도와 효과를 높인다는 입장이다.

김상일 CSR전략팀장은 “한화생명은 2015년부터 학생들에게 올바른 금융관념을 심어주기 위해 1사1교 금융교육을 진행해왔다”면서, “기존 교육과 더불어 앞으로는 금융감독원과 함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수능 이후 고3 금융교육 등 학생들에게 필요한 유익한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