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화이자 백신 3000만회분·옵션 3000만회분 구매계약 체결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4 09:32:31
  • -
  • +
  • 인쇄
확정 물량 내년 1분기부터 순차 공급…"옵션 행사기간은 내년 연말까지”
정 청장 ”추가구매는 변이에 대응 가능한 개량된 백신 공급 목적도 있어“

정부는 내년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에 필요한 백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백신 3000만 회분의 도입을 확정하고 추가로 3000만 회분의 옵션도 행사할 수 있는 구매 계약을 한국 화이자와 맺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3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장 브리핑룸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2022년에는 총 5000만 명이 1회 추가접종이 가능한 백신 물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mRNA 백신(화이자·모더나 등) 5000만 회분의 구매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오늘(13일) 화이자 백신 3000만 회분의 구매계약을 우선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확정된 3000만 회분은 내년 1분기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옵션으로 명시한 3000만 회분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구매가 가능한 물량“이라고 부연했다.

정 청장은 ”옵션 행사기간은 내년 연말까지로 계약을 진행했다. 동일한 가격으로 옵션계약이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가격은 비밀협약유지에 따라서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향후 예방접종 일정과 대상, 필요량을 면밀히 검토하여 필요시 추가구매 등을 추진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내년도에 도입하기로 한 5000만 회분 중 이번에 계약한 화이자 백신 3000만 회분 이외의 2000만 회분에 대한 구매입장도 밝혔다.

정 청장은 ”다양한 수급에 대한 불안정성에 대응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의 포트폴리오 등을 고려해 2000만 회분에 대한 계약도 현재 검토중에 있다“며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양한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다. 확정되면 안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내년도 추가 접종용으로 백신을 도입하는 배경에 대해서는 ”면역 지속기간이 짧아 져서 면역을 높이기 위한 추가 접종의 목표도 있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한 개량된 백신을 공급받는 목적들을 담고 있다“며 ”그런 부분을 충분히 협의하며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화이자 백신은 올해 총 6600만 회분의 공급계약이 체결되었으며, 현재까지 1788만 회분이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접종에 사용되고 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우아쏠' 13기 옥순 효마니, 유희관·민경수와 흥미진진 삼각관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웨이브(Wavve) ONLY 예능 ‘우리 아직 쏠로’에서 유희관-민경수가 13기 옥순 ‘효마니’를 사이에 둔 흥미진진한 삼각관계를 시작한다. 18일(오늘) 오후 5시 웨이브(Wavve)에서 선공개되는 야구인들의 리얼 연애 예능 ‘우리 아직 쏠로’(이하 ‘우아쏠’) 5회에서는 ‘지니’ 유희관, ‘우기’ 박재욱, ‘민빈’ 민경수,

2

'독박투어4' 김준호 "유세윤 무독이니 빨리 짜야 돼"→하승진 "진짜 나쁜 형들"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게스트 하승진과 손잡고 ‘무독’ 유세윤 몰이에 나선다. 20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채널S, 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17회에서는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초특급 게스트 하승진과 함께 인도네시아의 숨겨진 보석 ‘빈탄’에서 다이내믹한 액티비티를 즐기는 하루가 펼쳐진다.

3

'박장대소' 박준형-장혁, 신청자들 콜(요청) 받고 길거리 깜짝 출몰?!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S 신규 예능 ‘박장대소’가 박준형-장혁의 좌충우돌 케미가 담긴 첫 녹화 스틸을 전격 공개했다. 오는 10월 말 첫 방송하는 채널S ‘박장대소’(제작: SK브로드밴드)는 30년 우정의 ‘찐친 브로’ 박준형-장혁이 일반인들의 ‘콜(요청)’을 받아 현장으로 출동해,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는 리얼리티 예능이다. 이와 관련해 제작진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