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청장 ”추가구매는 변이에 대응 가능한 개량된 백신 공급 목적도 있어“
정부는 내년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에 필요한 백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백신 3000만 회분의 도입을 확정하고 추가로 3000만 회분의 옵션도 행사할 수 있는 구매 계약을 한국 화이자와 맺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3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장 브리핑룸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2022년에는 총 5000만 명이 1회 추가접종이 가능한 백신 물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mRNA 백신(화이자·모더나 등) 5000만 회분의 구매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오늘(13일) 화이자 백신 3000만 회분의 구매계약을 우선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확정된 3000만 회분은 내년 1분기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옵션으로 명시한 3000만 회분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구매가 가능한 물량“이라고 부연했다.
정 청장은 ”옵션 행사기간은 내년 연말까지로 계약을 진행했다. 동일한 가격으로 옵션계약이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가격은 비밀협약유지에 따라서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향후 예방접종 일정과 대상, 필요량을 면밀히 검토하여 필요시 추가구매 등을 추진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내년도에 도입하기로 한 5000만 회분 중 이번에 계약한 화이자 백신 3000만 회분 이외의 2000만 회분에 대한 구매입장도 밝혔다.
정 청장은 ”다양한 수급에 대한 불안정성에 대응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의 포트폴리오 등을 고려해 2000만 회분에 대한 계약도 현재 검토중에 있다“며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양한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다. 확정되면 안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내년도 추가 접종용으로 백신을 도입하는 배경에 대해서는 ”면역 지속기간이 짧아 져서 면역을 높이기 위한 추가 접종의 목표도 있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한 개량된 백신을 공급받는 목적들을 담고 있다“며 ”그런 부분을 충분히 협의하며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화이자 백신은 올해 총 6600만 회분의 공급계약이 체결되었으며, 현재까지 1788만 회분이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접종에 사용되고 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