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 장중 거래와 관련된 IT 기술주 매매 가장 많아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삼성증권은 2022년 2월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오픈 2년만에 작년말 기준 누적 거래금액 10조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증권 미국주식 주간거래는 국내시간으로 낮에 미국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서비스다. 2022년 2월 삼성증권에서 세계에서 처음 오픈했는데 지난해에는 국내 증권사들이 앞다퉈 도입하면서 일반화되고 있다.
![]() |
▲삼성증권이 2022년 2월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오픈 2년만에 작년말 기준 누적 거래금액 10조원을 돌파했다. [사진=삼성증권] |
특히 2022년 월평균 3000억원에서 지난해 6000억원대로 거래대금이 늘었으며 미국의 긴축금융 완화기대가 팽배하던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월평균 거래액은 8000억원대로 급증했다. 이 서비스의 장점은 낮동안 국내와 미국시장 업종·종목간 페어트레이딩을 할 수 있고 리스크 이슈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 오전 9시30분(서머타임 적용시)부터 정오까지 전체 주간거래 주문 건수의 약 40%가 몰리는 만큼 오전 9시 개장하는 국내증시와 미국주식 주간거래간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8월24일 AI반도체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2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했는데 국내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리며 삼성증권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거래는 817억원에 달했다.
국내 서학개미들이 미국 현지 투자자보다 한발 앞서 엔비디아 매수에 나서는 기회를 제공한 셈이다. 아울러 신용평가사 피치에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 관찰 대상’에 편입했던 작년 5월25일에도 국내에서 리스크 방어 매도가 몰리며 811억원의 거래가 이뤄졌다.
![]() |
▲삼성증권이 2022년 2월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오픈 2년만에 작년말 기준 누적 거래금액 10조원을 돌파했다. [사진=삼성증권] |
연령대는 60대이상이 전체의 28.8%로 가장 높고 50대 26.1%, 40대 19.7%, 30대 15.0% 등 순이다. 오프라인을 통한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이용이 증가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무엇보다 최근 1년새 베이비부머의 모바일금융 이용률이 80%를 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60대이상의 삼성증권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오프라인 비중은 65.3%를 기록하고 있다. 론칭 전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주식 오프라인 거래비중 46.3%에 비해 20%P 늘어난 것이다.
담당 PB와 실시간 상담을 통해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사례가 많아졌다는 것이 삼성증권 관계자의 설명이다. 종목별로는 ▲테슬라(1조8926억원) ▲엔비디아(8175억원) ▲애플(5148억원) ▲MS(4326억원) 등 순으로 실적에 기반한 대형 IT 기술주 거래가 집중돼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긴축금융정책 완화 등의 기대감으로 미국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소위 ‘서학개미’가 많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며 “삼성증권은 고객들이 시장에 빠르게 대응토록 주간거래는 물론 신속하고 정확한 투자정보 제공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