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국내 최초 폐암 진단용 '로봇 기관지 내시경' 도입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9 09:57:58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가 폐암 진단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진단 장비인 ‘로봇 기관지내시경(ION®)’을 국내 최초로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되는 로봇 기관지내시경(Robotic-Assisted Bronchoscopy)은 병변의 위치나 크기, 폐 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정밀 내비게이션 기술을 통해 폐 깊숙한 부위까지 안정적으로 접근,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최첨단 로봇 시스템이다. 

 

기존 기관지내시경으로는 도달이 어려웠던 말초 폐 병변에 대한 진단 정확도를 높여, 폐암 확진과 치료 결정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황보빈 국립암센터 호흡기내과 분과장은 “국립암센터는 2005년 국내 최초로 초음파 기관지내시경(EBUS)을 도입해 폐암 진단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바 있다”며, “이번 로봇 기관지내시경 도입은 폐암 진단의 정밀성과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현성 교수(호흡기내과)는 “말초 폐 결절처럼 기존 방법으로는 진단이 까다로운 병변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며, “작은 폐암의 수술 범위 결정, 방사선 치료 및 전이암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향후 본 장비의 성능 및 효과에 대한 평가 연구도 진행될 예정이며, 임상 적용은 오는 2025년 6월부터 시작된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폐암은 조기 진단이 특히 어려운 암종으로, 국립암센터는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국가 암 검진 사업을 통해 조기 검진을 선도해왔다”며, “하지만 조직검사로 확진하기까지의 어려움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었고, 이번 로봇 기관지내시경 도입은 이러한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향후 국립암센터는 해당 장비의 치료 성과와 임상 효과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고가 장비 도입을 고려 중인 국내 의료기관들에 중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기술은 국립암센터와 울산대학교병원이 국내 최초로 공동 도입한 것으로, 폐암의 정밀 진단과 맞춤형 치료로 이어지는 정밀의료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