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만 웃는'부익부 빈익빈'심화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5 14:25:21
  • -
  • +
  • 인쇄
두나무, 보유 비트코인 평가이익에 순익 515.4% 급증
빗썸코리아·코인원·코빗·스트리미 등 줄줄이 적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업계가 지난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업비트만 당기순이익만 급증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사(두나무·빗썸코리아·코인원·코빗·스트리미)의 지난해 영업수익(매출)은 총 1조1785억원으로 전년보다 26.8% 줄었다. 영업이익은 5586억원으로, 전년보다 33.5%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영업수익이 1조154억원으로 18.7%, 영업이익이 6409억원으로 20.9% 각각 감소했지만, 당기순이익이 8050억원으로 515.4% 급증했다. 회사가 보유한있는 디지털자산의 가격 상승으로 평가 금액이 올랐다는 분석이다.

 

빗썸코리아·코인원·코빗·스트리미 등은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빗썸코리아는 영업수익이 1358억원으로 57.6% 감소했고 영업손실도 149억원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순이익은 전년 대비 74.5%나 줄어든 243억원으로 급감했다. 

 

코인원 역시 영업수익이 225억원으로 35.7%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234억원으로 11.6% 늘었다. 순손실은 46.1% 감소한 67억원으로 나타났다. 코빗은 영업수익이 17억원으로 60.9% 줄었고 영업손실 269억원, 순손실 142억원을 기록했다. 

 

고팍스를 운영하는 스트리미의 경우 영업수익이 31억원으로 96.9% 증가했으나 169억원의 영업손실과 514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뛰면서 모처럼 거래가 활발해진 상황에도 거래소 간 양극화 현상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이는 회사별 시장 점유율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거래가 늘면 애초 점유율이 높은 거래소가 더 큰 수익을 남길 수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각 사 시장점유율은 업비트가 74%, 빗썸이 22%, 코인원이 3% 수준이며 코빗과 고팍스는 모두 1%에 미치지 못한다. 고객이 위탁한 비트코인 수량 역시 지난해 말 기준 업비트가 13만9887개를 보유해 2·3위인 빗썸(3만6337개)이나 코인원(8074개)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분위기 반전을 꾀하고 있다. 거래량이 급증한 덕분이다. 비트코인 가격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인 지난해 3·4분기 5개 거래소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코인게코 기준 15억4782만달러(약 2조1429억원)였다. 

 

하지만 올해 1·4분기에는 57억1942만달러(약 7조9185억원)로 2개 분기 만에 4배 가까이 폭증했다.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인 것은 빗썸이다. 지난해 3·4분기 1억8930만달러였던 빗썸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올해 1·4분기 13억7983만달러로 7배 이상 증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거래소들은 특성상 점유율이 높은 거래소가 더 큰 수익을 남길 수밖에 없다"며 "지난해 말부터 많은 거래소들이 수수료 무료 정책을 펼치면서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어 전반적인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앞장
[메가경제=정호 기자] 풀무원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에서 동물복지 계란과 펫푸드 브랜드 ‘아미오’ 등 2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동물복지 가치 확산 활동에 앞장섰다고 28일 밝혔다. 동물보호의 날 축제는 10월 4일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마련된 사람과 동물의 공존 문화를 확산하는 국민 참여 캠페인이다. 제1회

2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신규·기존 고객에 모두 '만족' 평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르노코리아는 지난 주말까지 하남 스타필드에서 진행했던 ‘르노 팝업 스테이지’ 행사에서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 체험 고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을 맞은 그랑 콜레오스는 기존 구매 고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있다. 28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9월 17일부터 2

3

현대리바트, 캐릭터 피규어 토대로 'MZ 공략' 박차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리바트가 2030 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젊은 세대 코드에 맞춰 수제 공예품을 소개하는 전문관을 열고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엔 캐릭터를 활용한 피규어를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토탈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리바트 캐릭터’로 만든 피규어 6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