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 |
▲서울 시내 주택가 [사진=연합뉴스] |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소유권 매매 이전등기 65만9728건 중 생애 최초 매수 건수는 28만4698건으로 전체의 43.2%를 차지했다. 거래 10건 중 4건 이상이 첫 주택 구입자에 의해 이뤄진 셈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42.5%)을 넘어선 것이며, 대법원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2010년 이후 1∼8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연간 기준으로도 2013년의 43.1%를 웃돌아 역대 최고치다.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커진 배경에는 신혼부부·신생아 대출 등 저리 정책자금 대출 혜택과 더불어, 1주택 이상 보유자에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 제한에서 자유롭다는 점이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1주택자에 대한 주담대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무주택자는 예외다.
또한 금리 인상과 전세사기 여파로 연립·다세대·오피스텔 등 투자수요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생애 최초 구입자의 비중이 늘어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 역시 같은 기간 생애 최초 매수 비중이 약 38%를 기록해, 2014년(38.8%)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래 건수로도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생애 최초 이전등기 건수는 28만4698건으로 집값 상승세가 정점을 찍었던 2021년(36만1750건) 이후 가장 많았다. 전국 집합건물 이전등기 건수도 2021년(104만459건) 이후 최대였다.
부동산R114 윤지해 리서치랩장은 “유주택자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정책자금 대출에서 유리한 생애 최초 구입자의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향후 보유세 등 다주택자 부담이 확대되면 생애 최초와의 격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