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폐페트병‧유리섬유로 친환경 철근 생산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4-20 17:51:48
  • -
  • +
  • 인쇄
고철‧석회석 등 사용하지 않아 일반 철근 대비 탄소 배출량 절반

SK에코플랜트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보강근 전문기업 케이씨엠티(KCMT), 친환경 신소재 기술기업 카본화이버앤영과 함께 케이에코바 생산라인 구축에 공동 투자한다고 20일 밝혔다.

GFRP 보강근은 흔히 철근이라 불리는 보강근을 철이 아닌 GFRP으로 만든 것이다. 생산과정에서 철근과 달리 고철‧석회석 등을 사용하지 않아 탄소 배출량이 50% 이상 적다는 게 SK에코플랜트의 설명이다.
 

▲ 일반 철근(오른쪽)과 비교해 내부식성이 강한 케이에코바(왼쪽)의 모습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3사는 버려지는 페트병을 재활용해 GFRP 보강근 생산에 필요한 원료 중 하나인 ‘함침제’를 생산하는 기술에 대한 공동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함침제는 유리섬유를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섬유의 배열을 유지하며 개별 섬유 간 하중 전달을 돕는 원료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GFRP 보강근은 철근과 달리 내부식성이 강다는 장점이 있다. 해안가‧교량‧댐 등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도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준공 이후 건축물의 유지보수도 편리하다.

또한 강도는 철근보다 2배 높고 무게는 4분의 1로 시공‧운송도 편리하다. 이 같은 우수성을 인정받아 1990년대부터 미국‧독일 등에서 사용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 산업 분야로 확대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20년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GFRP 보강근의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기 시작했다. 현재 구체적인 설계기준을 수립 중이다.

이번 3사가 공동으로 구축하는 신규 공장은 전 공정 자동화를 통해 기존 철근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80개의 생산 라인을 구축해 오는 2024년까지 연 4만 톤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어 추가 투자를 통해 오는 2027년에는 연 20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조정식 SK에코플랜트 에코솔루션 BU대표는 “케이에코바는 건설자재 특성상 색상에 구애받지 않아 투명한 페트병뿐 아니라 유색 페트병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어 페트병의 자원 순환율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