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5명 "일주만에 20명대"·국내발생 9명 "일주일만에 한자릿수"...사망자 1명

이승선 / 기사승인 : 2020-07-27 13:37:52
  • -
  • +
  • 인쇄
서울시청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11층 폐쇄

[메가경제= 이승선 기자] 지난 주말 100명대까지 급증했던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주일만에 20명대로 감소했다.


지난주에는 부산항 러시아 선박 선원과 이라크 귀국 근로자 등과 관련한 해외유입 집담감염 사례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했지만 이런 불안요인들이 줄고 지역발생 사례도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7일 0시 기준으로, 전날 대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5명이 추가됐으며 지금까지 누적 확진자는 1만4175명이라고 밝혔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20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일(26명) 이후 일주일만이다.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27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과 최근 추이.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지난 20일 이후 나흘 동안 40~60명 대를 오르내리던 신규 확진자는 토요일인 25일에는 113명까지 급증했고 일요일인 전날에는 58명을 기록했다.


일일 신규확진자 25명 중 국내발생 확진자는 9명으로, 지난 20일 4명 이후 1주일 만에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6명, 경기 2명, 부산 1명으로 수도권에서 확진자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줬다.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시도별 확진자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우려가 컸던 해외유입 사례는 16명이 확인되어 누적 확진자는 2306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누적 확진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6.3%다.


해외유입 환자는 25일과 26일 각각 86명과 46명까지 치솟았다가 다시 10명대로 내려왔다. 비록 이틀 전보다 크게 감소하긴 했지만 지난달 26일 이후 32일째 두 자릿수를 나타내면서 지난 3월 18일부터 4월 17일까지 31일간 최장기간의 기록을 넘어섰다.


국가별로는 필리핀 4명, 이라크·러시아 각 3명씩, 카자흐스탄·홍콩 각 2명씩, 미국·벨기에 각 1명씩이다.


새롭게 15명이 완치돼 지금까지 격리해제자는 총 1만2905명(91.0%)이 됐고, 현재 97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명이며, 한 명이 더 목숨을 잃으면서 누적 사망자는 299명(치명률 2.11%)으로 늘었다.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27일 정오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을 보면, 집단감염의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는데다 러시아 선원발(發) 감염이 부산항을 넘어 지역사회로 이미 'n차 전파'된 상황으로 전개되는 등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 강서구 소재 강서중앙데이케어센터와 관련해 지인 2명과 실습생 가족 1명 등 3명이 추가 확진되어 지금까지 총 28명으로 늘었고, 서울 관악구 사무실과 관련해 지인 1명이 추가 확인돼 누적 확진자는 총 38명이 됐다.


서울 종로구 정부 서울청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관련해서는 17명이 자가격리 중이고, 자가격리자를 포함해 57명에 대한 전수검사결과 다행히 전원 음성으로 확인됐다.


해외유입과 관련해서는 이라크 입국 근로자 중 2명이 추가 확진됐다. 이로써 이와 관련된 누적 확진자는 총 76명으로 늘었다.



서울시는 최근 회의 참석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자로 밝혀지자 27일 오후 청사 일부를 폐쇄했다. 사진은 서울시청 1층 로비 입구.  [사진= 연합뉴스]
서울시는 최근 회의 참석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자로 밝혀지자 27일 오후 청사 일부를 폐쇄했다. 사진은 서울시청 1층 로비 입구. [사진= 연합뉴스]


한편, 서울시는 시청 내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27일 오후 밝혔다.


시에 따르면 확진자는 50대 남성으로 공무원은 아니며 외부 자문위원이다. 확진자는 최근 시청 본청 11층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했으며 당시 회의에는 10명 내외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현재 11층을 폐쇄했으며 11층 직원들을 귀가시키는 한편 검체 검사를 받으라고 지침을 내렸다. 또 많은 사람이 드나드는 9층 카페, 지하 매점 등도 임시로 폐쇄하는 한편 마스크 미착용 인원의 시청 출입을 제한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승선
이승선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카드는 롯데 계열사 아냐" 해킹 사고에 롯데그룹까지 피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피해가 롯데그룹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롯데카드의 대주주는 MBK파트너스로, 롯데그룹 계열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수 고객이 롯데카드를 그룹 계열사로 오인하면서 브랜드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롯데는 2017년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금융·보험 계열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면서, 2019

2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1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가 정식 서비스 시작 후 하루 만에 국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게임 1위를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8일 오전 11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더 스타라이트’는 19일 오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순위 정상,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출시와 동시에 인기 게임 순위 3위에 오르며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3

하나은행,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대응해 원금은 보장하면서도 정기예금 이상의 높은 수익실현 기회를 제공하는 '지수플러스 정기예금'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지수플러스 정기예금(ELD, Equity Linked Deposit)은 주가지수연동 예금으로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된다. 중도해지를 하지 않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