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펫라이프 닥터뉴토, 반려동물 종합 영양제 4종 출시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6 08:49:30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대상펫라이프의 펫푸드 브랜드 ‘닥터뉴토(Dr. nuto)’가 하루 한 포로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알차게 챙길 수 있는 종합 영양제 ‘올라이즈 원데이 멀티 솔루션’ 4종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무려 150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기호성 높은 영양제 제품을 찾는 보호자들의 수요도 늘고 있다. 이에 닥터뉴토는 원광대학교 동물자원 개발연구 센터장이자 수의사인 김옥진 교수와 협업해 동결건조 형태의 종합영양제를 개발했다.

 

▲ <사진=대상>

 

반려동물 종합영양제 ‘닥터뉴토 올라이즈 원데이 멀티솔루션’은 반려견과 반려묘 용으로 각각 구분되어 북어 맛과 치킨 맛 두 가지로 총 4종이 출시됐다. 반려동물의 면역력, 항산화, 혈행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소만을 배합한 맞춤형 설계가 특징이다. 반려견 전용 제품에는 항산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코엔자임 Q10’과 혈중 중성지방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오메가3’ 등 9가지 필수 영양 성분이, 반려묘 전용 제품에는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셀레늄’,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락토올리고당’ 등 11가지 영양소가 고루 포함돼 있다.

 

무엇보다 대상만의 발효공법으로 만든 ‘프리미엄 L-아르기닌’을 함유하고 있어,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북어와 치킨 원물 동결건조 베이스를 사용해 제품의 신선도와 원재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반려동물의 기호성도 높였다. 또 해썹(HACCP)인증 시설에서 제조돼 더욱 믿고 급여할 수 있다.

 

이은비 대상펫라이프 상품기획팀장은 “이번 신제품은 대상의 기술력으로 만든 원료와 함께 필수 영양 성분을 한 포에 담아 반려동물의 건강과 활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품질 종합영양제”라며, “본 제품을 시작으로 동결건조 영양제 시리즈를 계속해서 선보이는 등 반려동물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제품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대상펫라이프는 지난 10월 체결한 원광대학교 동물자원 개발연구 센터장이자 수의사인 김옥진 교수와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이번 반려동물 영양제 신제품을 출시했다. 김옥진 교수는 미국인명정보기관(ABI), 국제인명센터(IBC), 마르퀴즈 후즈 후 인더월드 등 3대 인명사전에 모두 등재된 생명과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동물보건복지학회 회장,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회장직을 역임한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