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탄소중립 대응, 투자 리스크 높아 망설여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7 12:00:05
  • -
  • +
  • 인쇄

국내 기업들이 탄소중립에 대응하려고 해도 관련 투자 리스크가 높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기업(배출권거래제, 목표관리제 1000개사 중 39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탄소중립 투자 리스크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해 ‘높다’(71.7%) 또는 ‘매우 높다’(17.4%)고 응답한 기업이 89.1%에 달했다. 

 

▲ 그래픽=대한상공회의소

 

반면 투자 리스크가 낮다고 응답한 기업은 10.9%에 그쳤다. 탄소중립 추진이 앞으로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것을 알지만 지금 당장은 투자 리스크가 높다고 평가한 것이다. 

 

기업들은 “최근 경기악화, 인프라 및 정부 지원 부족, 낮은 배출권 가격 등으로 인해 실제 탄소감축 투자가 기업 수익과 경쟁력에 도움이 될지 망설여진다”며 하소연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탄소중립 추진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60.3%로 부정적으로 응답한 기업(39.7%)보다 많았다. 다만 긍정적인 응답이 2022년 34.8%에서 2023년 68.8%로 두 배 증가했다가 올해는 60.3%로 지난해보다 8.5%p 하락했다.

 

대한상의가 구체적으로 조사해 보니 실제 온실가스 감축투자를 ‘추진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8.2%였다. 응답기업의 35.4%는 ‘투자 계획 중’이라고만 밝혔고, 26.4%는 아예 ‘온실가스 감축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감축투자 계획이 없는 기업은 그 이유로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2.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감축수단·기술 부족’(30.5%), ‘투자 수익 불확실’(28.8%)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은‘투자 수익 불확실’(35.3%), 중견기업은‘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6.4%), 중소기업은‘감축수단·기술 부족’(4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들은 주요국 대비 국내 탄소중립 이행여건 및 정부 지원 수준이 뒤처진다고 평가했다. 항목별로 보면 ‘무탄소에너지 인프라(72.8%)’가 가장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보조금, 세제혜택 등 재정적 지원’(67.2%), ‘탄소중립 혁신기술 R&D 지원’(60.8%), ‘탄소중립 관련 법·제도’(49.8%)가 뒤처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는 이번 조사와 관련 대한상의에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 EU의 그린딜에 이어 일본도 제조업의 그린산업 전환을 목표로 그린트랜스포메이션(GX) 정책을 수립해 10년간 민관 합산 150조엔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며 “주요국은 대규모 국가예산을 그린산업으로 구조 전환하는데 투입해 자국 산업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레일, ‘내일로 해커톤’ 개최…총상금 1500만원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인공지능(AI) 기술과 공공데이터를 융합한 대국민 서비스 개발을 위해 ‘내일路 해커톤 2025’를 개최한다. 해커톤(hackathon)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여러 명이 팀을 이루어 제한 시간 내 주제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진대회다. 이번 대회는 ‘공공데이터 기반

2

JW신약, 듀크레이 ‘케르티올 크림’ 론칭…스킨케어 시장 공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JW신약은 프랑스 제약사 피에르파브르(Pierre Fabre)의 더모코스메틱 브랜드 듀크레이(Ducray)의 ‘케르티올 컨센트레이트 크림(케르티올)’을 국내 공식 론칭했다고 29일 밝혔다.JW신약은 지난해 듀크레이의 모발 케어 화장품 ‘네옵타이드 엑스퍼트’를 선보인 데 이어 이번에는 스킨 케어 제품을 추가하며 두피와 피부를 아우르는

3

대원제약, 급성기관지염 치료제 ‘코대원플러스정’ 허가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대원제약(대표이사 백승열)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급성기관지염 치료제 ‘코대원플러스정’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코대원플러스정은 기존 진해거담제 ‘코대원정’에 생약 성분인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11% 에탄올건조엑스를 더한 복합제다.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는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을 통해 급성 기관지염 치료에 쓰인다. 이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