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라이프디자인그룹, 전년비 영업익 67% ↑… 앨범사업 성장 주도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5 09:57:26
  • -
  • +
  • 인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에스엠라이프디자인그룹(SM Life Design Group)이 5일 공시를 내고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2분기 매출액 169억원, 영업이익 24억원, 당기순이익 28억원을 기록하며 최근 3년간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카카오 산하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앨범 인쇄를 시작하면서 동사의 매출다각화 전략이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고 있는 모양새다.

 


2분기 실적을 반영한 SM라이프디자인그룹의 상반기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한 241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상승률은 각 67%, 66%로 매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최대 거래처인 SM엔터테인먼트의 NCT, 라이즈, aespa 물량이 꾸준히 성장한데다, 걸그룹 ‘아이브’, ‘키키’ 등 카카오 계열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들의 인기가 더해지면서 상반기 앨범 인쇄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SM라이프디자인그룹 관계자는 “고도화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해 신규 인쇄기를 도입하는 등 선제적인 시설투자를 단행하고, 거래처 다각화에 힘을 쏟은 결과가 매출과 이익률 신장으로 이어졌다”면서 “전통적으로 에스엠라이프디자인의 하반기 매출이 상반기 매출보다 컸던 점을 고려해, 올해 연매출 또한 지난해 대비 우상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회사는 변화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pop 업계 최초의 복합 스튜디오 ‘SM 스튜디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한데 이어, 고조되는 친환경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담 TFT팀을 신설해 운영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알려졌다.

SM라이프디자인 남화민, 박준영 공동대표는 “최근 4년간 에스엠라이프디자인의 재무구조와 손익이 꾸준히 개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저평가 되어있다는 일부 투자자들 의견에 대해 대표로서 안타까움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앞으로 시장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소통을 지속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이어 “SM라이프디자인은 안정성과 수익성을 기반으로 기업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계속기업’의 명제에 충실하며 미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며 “결국에는 이러한 가치가 주가에도 반영되어 머지않은 시점에 시장의 정당한 평가를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