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진행 따라 자본시장 흔들...메리츠증권 "당사 무관"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김영준 전 이화전기 회장의 구속이 한 기업의 경영진 비리 의혹을 넘어, 우리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이화전기 주식 거래 과정에서 메리츠증권의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관련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김 전 회장은 횡령·배임 및 사실 축소·은폐한 혐의 등으로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김미경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26일 오후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김 전 회장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고 구속 필요성을 심리한 뒤 영장을 발부했다. 다만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화전기 전 경영진 3명의 구속영장은 기각됐다.
![]() |
▲ 서울중앙지검 조세범죄조사부가 이진용 부장검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이화전기 사태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김영준 전 이화전기 회장(왼쪽)은 지난 26일 구속된 상태에서 수사를 받게 됐다.[사진=연합뉴스] |
서울중앙지검 조세범죄조사부는 지난 5월 말 이진용 부장 검사가 부서를 이끈 이후 이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 결과 지난 19일 검찰은 김 전 회장 등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이 이화전기 등이 포함된 이화그룹(이그룹)의 실질적 회장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이화전기 측은 “보도에 언급된 경영진은 지난해 퇴사한 임원으로서 현 경영진과는 무관한 전 경영진”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 전 회장 등은 전환사채(CB) 매각을 앞둔 지난해 3~4월 김 전 회장이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자 횡령액 등을 축소·은폐한 자료를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메리츠증권과 관련 의혹도 정조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메리츠증권은 거래정지 하루 전날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통해 확보한 이화전기 5838만2142주를 매도,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거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이그룹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며 관련 수사를 본격화했지만 답보상태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지난 5월 말 이진용 부장검사가 법무부 인권조사과장에서 조세범죄조사부장을 담당하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 부장검사는 지능형 범죄 수사 전문으로 평가받는다.
법조계 인사는 “메리츠 측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검찰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면밀히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증권가는 이번 사건의 수사 과정에 따라 자본시장의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수사가 좋지 않게 흘러가면 투자자들은 더 이상 기업과 금융기관을 믿고 투자하기 어려워질 것이며, 이는 자본시장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토로했다.
메리츠증권은 메가경제와의 통화에서 “김영준 회장 구속영장 발부는 이화전기 허위 공시 관련으로 당사와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