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진 시의원, “급증한 기술형 입찰, 비리 철저히 차단할 것”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7 11:42:17
  • -
  • +
  • 인쇄
2012년 중단한 턴키 등 기술형 입찰,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 급증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턴키 등 기술형 입찰이 복합 공종이나 고난도 공사의 시행에 적합한 입찰 방식이지만, 수주를 위한 업체 간 담합과 심의위원에 대한 로비 발생 우려가 크므로 공정한 입찰이 되도록 특별한 관리를 주문했다.

 

▲남창진 의원은 제316회 임시회 상임위 소관 기술심사담당관 업무보고에서 최근 판결이 나온 대형건설사 입찰비리 건에 대해 질의를 하고 있다. 

 

지난 3일 제316회 임시회 상임위 소관 기술심사담당관 업무보고에서 남 의원은 최근 판결이 나온 대형건설사 입찰비리 언론보도를 제시하며 지난 2012년 서울시가 턴키 등 기술형 입찰은 담합과 로비 가능성이 있어서 더 이상 발주방식으로 적용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최근에 수 조원 규모로 기술형 입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며 전환의 이유를 물었다.


남 의원은 “기술심사담당관이 제출한 업무보고 따르면 동부간선도로 지하화(4공구) 3153억원,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건축, 시스템)1,2공구 6313억원, 중량물재생센터 시설현대화(2단계) 7802억원 등 1조7268억원을 ‘기본설계 기술제안’ 방식으로 입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입찰방법 결정 예정사업으로 9000억원 규모의 대심도 방재터널 설치(3개소), 강북정수장 증설, 성동구치소부지 공동주택 건설, 남산 친환경이동시설 도입사업 등 총 3조원이 넘을 것 같다고 말하며 송파구 1년 예산 1조1752억원과 비교하면 엄청난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남 의원은 “턴키나 기술제안 입찰은 고난도 공사나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공사 등 특별한 경우에 입찰 참여자가 책임을 지고 공사를 진행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입찰에 따른 담합과 로비가 심하고 뇌물 비리로 연결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낙찰자 선정 시 공정한 입찰이 되도록 각별히 관리해 과거와 같은 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남 의원의 지적에 대해 기술심사담당관은 “입찰비리 차단을 위해 민간기업 종사자의 심의위원 참여를 금지했고 심의위원 참여 기간은 1년으로 한정해 매년 갱신 운영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려면서 “심의 위법사항 적발 시 강력한 처벌과 고발조치 안내, 심의위원 접촉금지, 심의과정 동영상 녹화, 평가결과 공개 등을 하고 있으나 지적한 부분에 대해 추가적인 조치도 검토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BYD코리아, '부산 동래 전시장' 서비스센터 오픈
[메가경제=정호 기자] BYD코리아가 BYD Auto 부산 동래 전시장과 서비스센터를 열고 이를 기념하는 오픈식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BYD코리아 공식 딜러사 DT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이번 전시장은 부산 수영·창원 전시장과 사상 서비스센터에 이어 부산·경남 지역에 세 번째로 마련된 고객 접점이다. 부산 지하철 1호선과 동해선 교대역에서 도보 3분

2

CJ대한통운 '더 운반' 신규 카드 등록 화주 50% 할인 프로모션
[메가경제=정호 기자] CJ대한통운의 디지털 운송 플랫폼 '더 운반(the unban)'이 물류 성수기인 추석 명절을 앞두고 화주 고객의 비용부담을 덜어줄 운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CJ대한통운은 오는 30일까지 '더 운반' 플랫폼에서 신규 결제 카드를 등록한 화주 고객을 대상으로 50% 운임할인 쿠폰을 지급한다고 15일

3

한국타이어, '벤투스 슈퍼 스포츠 익스피리언스 데이'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지난 9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인천 영종도 소재 자동차 복합 문화 공간 BMW 드라이빙 센터에서 진행한 '벤투스 슈퍼 스포츠 익스피리언스 데이(Ventus Super Sport Experience Day)'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15일 한국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