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공공주택 사업 최대 이익자는 민간?…우미건설 사례 도마 위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3 14:12:00
  • -
  • +
  • 인쇄
우미건설 컨소, 양주옥정 사업지서 563억원 챙겨
사업 수익 62%가 민간으로…'공공성 붕괴' 논란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도하는 공공주택 사업에서 민간 건설사가 과도한 이익을 챙기는 구조가 다시 확인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공공주택 사업이 민간 수익 보장 창구로 변질됐다”며 LH가 직접 건설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3일 경실련이 발표한 ‘2015∼2025년 LH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 실태 분석’에 따르면, LH가 11년간 추진한 137건(약 11만호) 민간참여사업의 전체 수익 가운데 59%가 민간사업자에게 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분석은 황운하 조국혁신당 의원실 제공 자료와 LH의 택지조성원가·입주자모집공고 등을 기반으로 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015∼2025 엘에이치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 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경실련]

 

연도별 평균(2022년 제외)에서도 민간 수익배분율은 59%로 공공(41%)을 크게 웃돌았다. 공공이 땅을 조성하고 사업을 설계하며 위험을 부담하는 구조임에도, 최종 이익은 민간이 절반 이상 가져가는 모순적 구조가 고착화됐다는 지적이다.

 

이 중 분양면적과 가격 파악이 가능한 20개 사업장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 민간이 가져간 이익은 총 4509억원에 달했다.

 

특히 민간의 분양이익이 가장 컸던 양주옥정 에이(A)1 블럭의 경우 903억원 수익 중 62%인 563억원을 아파트 브랜드 '우미린'을 보유한 우미건설(대표 김영길) 컨소시엄이 챙긴 것으로 추정됐다. 민간사업자가 참여해 완성된 11만호 중 분양주택이 6만호로 임대주택보다 많았다. 이 같은 수익 구조는 공공주택 사업 취지와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11만호 공급물량 중 6만호가 분양주택으로 공급돼 임대주택보다 많았다는 점도, 공공성보다 민간의 분양 이익이 우선된 사업 구조였다는 의심을 키운다.

 

경실련은 “정부는 직접 건설 방식으로 장기공공주택과 기본주택 공급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택지 매각 중단만으로는 부족하며, 분양주택 사업 축소와 분양원가 투명공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민간사업자 퍼주기를 방치하면 개발과 투기 수요만 자극해 집값 상승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와 공기업은 민간 이익 챙기기 관행을 중단하고, 무주택 서민에게 필요한 진짜 공공주택 공급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스타 2025] 장현국 넥써쓰 대표 "플랫폼 고도화와 양질 게임 확보 주력"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넥써쓰는 플랫폼 고도화와 더 나은 게임 확보를 위해 노력하며, 더 나은 토크노믹스를 적용한 게임과 콘텐츠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장현국 넥써쓰 대표는 13일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넥슨 퇴사 후 블록체인과 게임 결합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30년

2

[지스타 2025] 넥써쓰, 베트남 콘텐츠 기업 VTC 인테콤과 MOU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넥써쓰는 베트남 국영 디지털 콘텐츠 기업 VTC 인테콤(VTC Intecom)과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스타 2025 현장에서 이뤄졌으며, VTC 인테콤은 베트남 정보통신부 산하 국영 멀티미디어 그룹 ‘VTC’의 자회사로 게임 퍼블리싱과 이스포츠, 전자 결제 플랫폼 사업을 아우르는 베트

3

[지스타 2025] 엔씨소프트 "아이온2, 원작 본질 지키며, 시대 맞게 재창조된 작품"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아이온2'에는 원작 '아이온'에 없었던 새로우 이야기와 꿈을 담았으며, 원작의 본질은 지키돼, 시대에 맞게 재창조됐습니다." 백승욱 아이온2 총괄 프로듀서는 13일 오전 11시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지스타 2025’ 개막 오프닝 세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아이온2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