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 "학술 연구 등 AI 기술 가능성 실현 위해 적극 투자"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9 13:16:40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1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주포럼에서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칩 기반 기술력 등 글로벌에서 몇 안되는 AI 산업 생태계 요건을 갖춘 한국의 경쟁력을 강조하고, 기업간 협력을 강화해 아시아 지역의 AI 리더십 확보를 위한 이니셔티브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최수연 대표는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진행된 대한상의 최태원 회장, 카이스트 김재철AI대학원 정송 원장과의 대담에서 “한국은 우수한 AI 산업 생태계와 독자적인 디지털 플랫폼을 보유한 국가로 글로벌에서 AI 선도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네이버는 한국의 AI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는 주요 기업으로, 국내 민간 기업 최초의 슈퍼컴퓨터 도입부터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 구축, 전세계 AI 연구자들에게 활발히 인용되는 혁신적인 학술 연구 등 이제 시작 단계에 있는 AI 기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주포럼에서 발표 중인 최수연 네이버 대표.[사진=네이버]

 

이어 “자국 언어를 중심으로 초거대 생성형 AI 모델을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맨 처음 단계부터)’로 개발하여 서비스 전반 적용까지 나아간 사례는 중국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실질적으로 유일”하다며 최근 자체 AI 모델 구축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비영어권 지역에서 AI 기술 리더십 이니셔티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대표는 최근에는 AI의 발전 속도 보다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며,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보다 강력하게 반영한 자체 소버린 AI의 확산을 위해 여러 국가 및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자국어 중심 모델을 개발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하고자 한다.”며 “AI 인프라, 데이터,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진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글로벌 소버린 AI 생태계를 함께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소버린 AI 확산, AI 반도체 다양성 확보, AI 안전성 강화 등 AI 분야 주요 과제 해결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아시아 AI 기술 리더로 발돋움하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와 소버린 AI 모델 구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인텔과는 AI칩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협력을 시작했다. 빅테크 기업들이 참여하는 개방형 컨소시엄 ‘MLCommons’에서 AI 안전 벤치마크 구축 작업에 기여했으며, AI 워터마크 기술 표준을 구축한 글로벌 연합체인 ‘C2PA’에도 국내 기업 최초로 가입하여 AI 생성 콘텐츠 탐지와 관련된 기술 연구도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가벼워진 나, 커진 나눔”… 365mc, 제10회 ‘커진 옷 기부 캠페인’ 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가 비영리 재단 아름다운가게와 손잡고 제10회 ‘커진 옷 기부 캠페인’을 시작한다. 올해 슬로건은 ‘가벼워진 나, 커진 나눔, 나의 뉴 시즌(NEW SEASON)’으로, 다이어트를 통해 가벼워진 몸과 마음을 나눔으로 이어가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365mc는 10일 “이달 10일부터 오는 12월 20일

2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3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