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주요국 대비 신규진입률-순위-순이익 모두 낮아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2 14:14:00
  • -
  • +
  • 인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지난 10년간 세계 2000대 기업 명단에 신규진입한 한국 기업의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美 경제지 포브스(Forbes) 에서 발표하는 ‘2024 세계 2000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은 61개 등재되어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영국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한국 기업 61개 중 10년전인 2014년 명단에는 없었던 신규진입 기업은 16개였으며, 비율로는 26.2%였다.

 

▲ 그래픽=대한상공회의소

 

전체 2000대 기업 중에서는 33.8%인 676개가 신규진입 기업이었으며, 기업 수 상위 10개국 중에서는 중국(59.3%), 인도 (42.3%), 미국(37.5%) 순으로 신규기업 진입률이 높았다. 반면 한국은 전체 평균보다 신규진입률이 낮았으며, 순위로도 10개국 중 7위였다.

 

산업별로 10년간 신규진입률을 보면 IT 소프트웨어가 61.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비즈니스 서비스 53.9%, 금융투자 45.3%, 헬스케어 43.6%, 유통 40%, 제약 38.3% 등 주로 첨단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업이 많이 등장했다. 반면 철강·소재(23.1%), 석유·가스(17.7%), 통신(12.5%) 등에서는 신규 진입률이 낮았다.

 

해당 연구는 미국의 경제지 Forbes에서 매년 발표하는 ‘Global 2000’의 명단을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이며, '24년 자료는 5월 17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6월에 발표되었다. Global 2000 명단은 기업의 매출, 순이익, 자산, 시가총액을 종합해 선정, 순위가 미겨지는데, 이는 글로벌 시장 내 기업의 위치를 보여주는 종합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국가별 기업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 대부분은 2000대 기업 중 하위 순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기업 순위 분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기업 61개 중 9개인 14.7%만이 상위 500등 안에 포함됐다. 이는 중국, 일본, 미국 등 기업 등재 수가 많은 국가들 뿐 아니라, 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 적은 독일(50개) 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반면 1001~2000등에 들어간 기업의 비중은 우리나라가 60.7%로 주요국 중에 가장 높았다.

 

상위 500등 내에 있는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기업이 약 1/3인 176개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인도, 스위스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9개로 주요 10개국 중 가장 적었는데, 이는 총 등재기업 수로는 6위를 기록한 것에 비해 저조한 수치였다.

 

대한상의는 “독일의 등재 기업 수는 50개로 우리나라보다 11개 적지만 500등 이내 기업은 18개로 우리나라보다 두배 많았으며, 독일의 상위권 기업에는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 외에도 IT, 기계,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은 글로벌 기업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순이익도 우리나라가 주요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재 기업 수로는 한국이 61개로 6위 였으나, 국가별 등재 기업의 순이익을 모두 합한 전체 순이익 규모는 우리나라가 649억달러로 전체 12위로 떨어졌다. 이는 미국(순이익 1.8조달러), 중국(6021억달러), 일본(2790억달러) 뿐 아니라, 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 적은 캐나다(1104억달러), 독일(1017억달러), 프랑스(1439억달러) 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또한 국가별 등재기업의 평균 순이익(국가별 순이익 합계÷기업 수)을 계산해보면 우리나라는 10.6억 달러로 주요 10개국 중 가장 낮았으며, 전체 평균인 22.5억 달러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우리나라 등재기업 61개 중 순이익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은 44개로 72.1%였는데, 이는 2000대 기업 중 같은 순이익 구간에 있는 기업의 비중이 52.6%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이며, 미국 48.5%, 중국 60.4%등과 비교해도 높았다. 반대로 순이익 20억달러 이상 구간의 한국 기업 비중은 11.5%에 불과했는데, 이 또한 전체의 26.1%, 미국의 30.4%, 중국의 19.3%에 비해 낮아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에 수익성이 높은 글로벌 기업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더 제너레이션 매치’ 티켓 증정 이벤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리코스포츠에이전시가 주최하는 ‘더 제너레이션 매치 상상인·메디카코리아’의 현장 관람 티켓 증정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매치는 1900년대생 베테랑 선수들과 2000년대생 라이징 스타들이 세대를 대표해 맞대결을 펼치는 이벤트 경기다. LG 트윈스 김현수와 임찬규, 삼성 라이온즈 원태인, 강민호, 두산 베어스

2

IBK기업銀,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지난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서울특별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장학재단과 공동으로 개최한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서울형 강소기업 및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미래전략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 74개사와 4000여 명 이상의 구

3

발목에서 뚝 소리 나면 인대 손상 의심해야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힘찬병원(대표원장 이수찬)이 자체 유튜브 채널 '수찬's 관절토크'를 통해 발목 인대 손상의 단계별 증상 및 관리 방안을 소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콘텐츠에서 류승열 진료원장은 발목 인대 손상을 심각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대응법을 제시했다. 류 원장에 따르면 1도 손상은 인대가 늘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