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번째 단독 매장 열고 국내 사업 속도 내는 신명품 '가니'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9 15:14:32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컬처 블렌딩 유니언(Culture Blending Union)’ 비이커(BEAKER)가 운영하는 코펜하겐 패션 브랜드 ‘가니(GANNI)’는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63㎡(약 19평)규모의 단독 매장을 오픈했다고 29일 밝혔다.


전세계 젠지(Gen Z) 사이에서 ‘스마일리’ 심볼로 알려진 가니는 모던 어드밴스드 컨템포러리 브랜드이고, 유니크하고 임팩트있는 포지셔닝으로 정평이 나있다.  

 

▲국내 6번째 단독 매장 열고 국내 사업 속도 내는 신명품 '가니'

 

지난해 국내 첫 단독 매장을 오픈한데 이어, 올 들어 6번째 매장인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추가 오픈하며 국내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가니는 덴마크의 리빙 공간에서 영감 받아, 개성 가득한 스칸디나비안(Scandi2.0) 스타일 감각을 더해 누구나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공간으로 현대백화점 판교점 매장을 구성했다.

카운터와 밝은 파스텔톤의 타일 컬러가 서로 대비되며 강렬한 인상을 주고, 전시되어 있는 상품들과의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룬다.

가니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디테 레프스트럽(Ditte Reffstrup)은 올 가을겨울 시즌에 가니걸을 보다 성숙하고 세련되지만, 여전히 장난스럽게 상상했다. 컬렉션에서 옷장의 기본이 되는 슈트와 테일러링을 강조했고, 브랜드의 새 로고인 버터플라이 디자인을 활용해 아이템에 새로운 에너지를 표출했다.

올 가을 겨울 시즌 대표 아이템은 크롭 기장의 데님 트러커 셋업, 모던하고 개성있는 패턴이 적용된 뉴 노르딕 스웨터, 고급스러운 소재와 다양한 퀼팅 패턴이 혼합된 퀼팅 아우터 등이다.

또 가니는 단독 매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별도의 컬렉션을 내놨다. 버니 프린트의 스웻셔츠, 익스클루시브 컬러의 스웨터 풀오버, 울코트 등은 오직 단독 매장에서만 운영한다.

또 가니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는 공급 체인을 만들어 도덕적 의무를 다하고 있다. 2027년까지 탄소배출을 50%까지 축소하는 계획을 갖고 매년 사회적 책임에 관한 리포트를 공식 발행한다. 보증되고 혁신적인 원단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컬렉션의 100%를 인증된 재생, 오가닉 소재를 쓰기 위해 전념한다. RTW 라인에서 동물 가죽 사용을 중지하고있다.

 

2023년부터는 액세서리와 슈즈에서도 가죽 사용을 중지한다. 생산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급 체인의 단계별로 100% 추적하며, 이를 의류 산업 생산 정보 플랫폼 ‘Open Apparel Registry’에 발행하고 있다.

정혜림 비이커 모노 팀장은 “개성있고, 실험적이며, 고객에게 영감을 주는 가니의 인기가 해를 거듭하며 높아지고 있다” 라며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긍정 에너지를 많은 고객이 경험할 수 있도록 국내 유통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라고 말했다.

한편 가니는 지난 11월 초,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현대백화점 무역점 5층에 83㎡(약 25평) 규모의 5번째 매장을 오픈한 바 있다.

가니는 유럽과 미국, 아시아에 40여 개의 플래그십 스토어와 함께 전세계 600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2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3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결론 못 내...대규모 투자 조건 줄다리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방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귀국했다. 김 장관은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구조와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쟁점을 논의했으나, 협의가 어느 정도 진전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날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한 김 장관은 협상 결과를 묻는 질문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