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고양창릉·부천대장 밑그림 나와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08-31 15:17:01
  • -
  • +
  • 인쇄
국토부·LH 국제공모 거쳐 도시기본구상 확정
고양창릉 11개 생활권, 부천대장 6가지 방향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3기 신도시인 고양 창릉과 부천 대장지구의 도시 밑그림이 확정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두 신도시에 대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국제공모를 거쳐 도시기본구상을 확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두 신도시에는 세계적인 수준의 도시개발 아이디어를 접목해 도시의 기획단계부터 도시·건축·시설물을 아우르는 입체적 도시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는 취지로 국제공모를 진행했다.

 

▲ 고양 창릉지구 최우수작 조감도 [사진= 국토교통부 제공]


고양 창릉지구(813만㎡)는 미국 수퍼마스스튜디오가 참여한 해안건축 컨소시엄이 제시한 계획이, 부천 대장지구(343만㎡)는 네덜란드 KCAP가 참여한 디에이그룹 컨소시엄이 제출한 계획이 선정됐다.

고양 창릉지구는 창릉천을 중심으로 훼손된 녹지와 수변공간을 회복하고 기능배분을 통해 11개 생활권을 설정해 개발하는 방식으로 구상됐다.

성사천 수변마을, 서오릉 역사문화마을 등을 조성하고, 신설되는 고양선과 S-BRT가 만나는 지구 중앙을 복합중심지구로 개발한다.

첫마을 시범단지는 원흥지구 인근에 배치하고 학교 공원을 중심으로 공원과 창릉천을 품은 친환경 주거단지로 조성한다.

부천 대장지구는 '고립된 들판에서 활기찬 도시로'라는 비전 아래 공생, 보행중심, 용도복합, 미래도시, 친환경·생태, 다양한 경관 등 6가지 방향으로 개발한다.

 

▲ 부천 대장지구 최우수작 조감도 [사진= 국토교통부 제공]

이를 위해 자족 중심의 그린플랫폼, 교육·문화 중심의 레이크파크, 공원·여가 중심의 센트럴파크 등 3개 생활권으로 구성한다.

도시 관문인 S-BRT 복합환승센터는 입체보행로와 녹지가 조화를 이룬 타워형 랜드마크로 구현하기로 했다.

당선된 컨소시엄에는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용역 수행권, 첫마을 시범단지 설계용역 우선협상권, 도시설계분야 총괄계획가 지위가 부여되며 교통 등 다른 분야의 총괄계획가와 함께 신도시의 구체적인 그림을 그려나가게 된다.

이번 국제공모 당선작 선정으로 모든 3기 신도시 도시기본구상이 완료됐다.

이에 따라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과천 등 지구는 내년 상반기에, 고양 창릉, 부천 대장지구는 내년 말까지 지구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보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보상 공고가 시작된 인천·하남·남양주 등 1·2차 지구는 연내, 고양·부천 등 3차 지구는 내년 상반기 보상 공고를 거쳐 보상에 착수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지구계획 등 절차가 완료된 공공분양주택 6만가구에 대해 사전청약을 실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LH와 함께 당선작 개발구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개발구상 아이디어를 반영해 새로운 도시 모습을 그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보람상조, 직영장례식장 사회적가치 창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보람상조가 상조의 근간인 ‘상부상조’ 정신을 현대적 방식으로 이어가고 있다. 단순한 기부나 봉사를 넘어 지역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법을 나누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공헌으로 진화시키고 있다.보람상조는 전국 13개 직영장례식장을 거점으로 각 장례식장의 매출 일부를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연간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2

SKT, 오픈랜 기술 표준화로 네트워크 AI 진화 주도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Filtered Measurements(FILM)’에 대한 기술 문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O-RAN얼라이언스는 2018년 2월 설립된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단

3

연세사랑병원, 스카이브와 AI·AR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공동 연구 강화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연구팀이 ㈜스카이브와 인공지능(AI) 기반 증강현실(AR) 인공관절 수술기법 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연구팀은 지난 27일 스카이브 엔지니어팀과 함께 AI 기반 3D 환자 맞춤형 수술도구 ‘니비게이트(Kneevigate)’ 및 AR 수술기법 연구미팅을 진행했다. 니비게이트는 환자 MRI 영상을 AI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