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키콩즈의 펑크비즘, RWA·NFT 융합 '생활형 웹3 모델'로 포브스 주목…”40 Under 40 Tech 리더 선정”

전창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1 16:18:39
  • -
  • +
  • 인쇄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세계적인 경제지 포브스 멕시코가 발표한 ‘40 Under 40 Líderes Tech – KOL Capital’ 명단에 펑크비즘(PUNKVISM)의 황현기 대표가 이름을 올렸다. 이 리스트는 전 세계 만 40세 이하의 혁신가 40인을 선정해 미래 디지털 경제를 선도할 차세대 리더로 조명한다.


포브스는 황현기 대표가 RWA(실물자산 토큰화)와 NFT, 토큰 이코노미를 통합한 ‘플랫폼형 웹3 모델’을 구축하며 팬과 창작자가 함께 성장하는 참여·보상 구조를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황 대표는 지난 2021년 메타콩즈 공동 창업 이후 축적한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2년 펑크비즘을 설립했다.

펑크비즘은 부동산·예술품 토큰화 거래소, PVT 토큰 기반 결제·소각 메커니즘, 메타버스 서비스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하며 ‘NFT→RWA→오프라인 혜택’으로 이어지는 다층적 유틸리티를 구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펑크비즘은 RWA 토큰화 거래소, 대표 NFT 컬렉션 펑키콩즈(PunkyKongz)를 포함한 NFT 및 IP 플랫폼, PVT 토큰 결제·소각 시스템을 핵심 사업으로 운영한다. 글로벌 30만 명 이상의 커뮤니티를 보유하며 DAO 기반 의사결정을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 펑키콩즈는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30~50% 할인, 제휴 병원 30% 할인, PVT 채굴 보상, RWA 우선 참여권 등 실생활 유틸리티를 제공해 ‘생활형 NFT’ 모델을 정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펑크비즘은 ‘팬과 창작자가 함께 가치와 수익을 공유하는 탈중앙 슈퍼앱’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황현기 펑크비즘 대표는 “이번 포브스 선정은 펑크비즘 팀과 커뮤니티가 함께 이룬 결과”라며 “NFT·RWA·메타버스가 결합된 웹3 생태계에서 한국이 글로벌 기준을 만드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NFT 채택률은 아직 전 세계 인구의 1%도 되지 않는다. 지금이야말로 1970년대 강남 땅을 보는 시각으로 웹3 자산을 바라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펑크비즘은 곧 PVT 토큰의 해외 대형 거래소 상장을 추진하며, 오프라인 7000여 개 가맹점 결제망과 연동되는 펑크페이를 출시해 결제 시 PVT 자동 소각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동남아를 거점으로 부동산·예술품 토큰 상장과 기관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글로벌 RWA 거래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실물 혜택과 재무 구조가 명확한 유틸리티형 NFT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며 펑크비즘의 행보가 한국 웹3 생태계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