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키콩즈의 펑크비즘, RWA·NFT 융합 '생활형 웹3 모델'로 포브스 주목…”40 Under 40 Tech 리더 선정”

전창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1 16:18:39
  • -
  • +
  • 인쇄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세계적인 경제지 포브스 멕시코가 발표한 ‘40 Under 40 Líderes Tech – KOL Capital’ 명단에 펑크비즘(PUNKVISM)의 황현기 대표가 이름을 올렸다. 이 리스트는 전 세계 만 40세 이하의 혁신가 40인을 선정해 미래 디지털 경제를 선도할 차세대 리더로 조명한다.


포브스는 황현기 대표가 RWA(실물자산 토큰화)와 NFT, 토큰 이코노미를 통합한 ‘플랫폼형 웹3 모델’을 구축하며 팬과 창작자가 함께 성장하는 참여·보상 구조를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황 대표는 지난 2021년 메타콩즈 공동 창업 이후 축적한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2년 펑크비즘을 설립했다.

펑크비즘은 부동산·예술품 토큰화 거래소, PVT 토큰 기반 결제·소각 메커니즘, 메타버스 서비스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하며 ‘NFT→RWA→오프라인 혜택’으로 이어지는 다층적 유틸리티를 구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펑크비즘은 RWA 토큰화 거래소, 대표 NFT 컬렉션 펑키콩즈(PunkyKongz)를 포함한 NFT 및 IP 플랫폼, PVT 토큰 결제·소각 시스템을 핵심 사업으로 운영한다. 글로벌 30만 명 이상의 커뮤니티를 보유하며 DAO 기반 의사결정을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 펑키콩즈는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30~50% 할인, 제휴 병원 30% 할인, PVT 채굴 보상, RWA 우선 참여권 등 실생활 유틸리티를 제공해 ‘생활형 NFT’ 모델을 정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펑크비즘은 ‘팬과 창작자가 함께 가치와 수익을 공유하는 탈중앙 슈퍼앱’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황현기 펑크비즘 대표는 “이번 포브스 선정은 펑크비즘 팀과 커뮤니티가 함께 이룬 결과”라며 “NFT·RWA·메타버스가 결합된 웹3 생태계에서 한국이 글로벌 기준을 만드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NFT 채택률은 아직 전 세계 인구의 1%도 되지 않는다. 지금이야말로 1970년대 강남 땅을 보는 시각으로 웹3 자산을 바라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펑크비즘은 곧 PVT 토큰의 해외 대형 거래소 상장을 추진하며, 오프라인 7000여 개 가맹점 결제망과 연동되는 펑크페이를 출시해 결제 시 PVT 자동 소각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동남아를 거점으로 부동산·예술품 토큰 상장과 기관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글로벌 RWA 거래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실물 혜택과 재무 구조가 명확한 유틸리티형 NFT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며 펑크비즘의 행보가 한국 웹3 생태계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티웨이항공, 부산발 삿포로, 후쿠오카 노선 신규 취항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올해 동계 시즌인 10월 26일부터 △부산-삿포로 △부산-후쿠오카 노선을 신규 취항한다. 우선 부산-삿포로 노선은 매일 1회 운항으로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오전 9시 출발, 현지 시각 오전 11시 20분 삿포로 신치토세 공항에 도착하는 스케줄로 비행시간은 2시간 20분가량 소요된다. 다음으로 부산-후쿠오카 노선은 매일 2

2

이랜드이츠 애슐리퀸즈, 타바스코와 함께하는 시푸드 시즌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이랜드이츠가 운영하는 월드 고메 뷔페 애슐리퀸즈가 지난 4일 전국 매장에서 ‘시푸드 시즌’을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시푸드 시즌은 애슐리퀸즈에서 가장 사랑받는 시즌 중 하나로, 올해는 제철코어 트렌드에 맞춰 ‘폴링 인 시푸드(Falling In Seafood), 우리가 사랑한 제철 시푸드’를 콘셉트로 준비했다. 이번 시즌에는 글로벌

3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채용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스타벅스 코리아는 오는 14일까지 스타벅스 전국 매장에서 근무할 바리스타 공개채용 접수를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스타벅스는 성별, 연령, 국적, 장애 여부에 관계없는 열린 채용을 통해 다양성을 포용하는 근무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정기적인 바리스타 공개채용 뿐만 아니라 매장별 상시 채용, 장애인, 외국인, 경력단절 등 다양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