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는 '굉장히 강했다' 이세돌답지 않은 전략도 안통했다

정성규 / 기사승인 : 2017-12-23 20:14:48
  • -
  • +
  • 인쇄

[메가경제 정성규 기자] 또 불계패다. 바둑고수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에 이틀 연속 돌을 던졌다. 인류 대표는 너무 신중했고 보이지 않는 기계의 손놀림은 너무도 과감했다. 제2국에서도 인간의 상식을 벗어나는 알파고의 포석과 변칙 승부수들이 이세돌 9단의 호승심을 눌렀다.


이세돌 9단은 10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5번기 제2국에서 백을 쥐고 알파고에 211수 끝에 불계패했다.


전날 알파고의 냉정함에 미처 적응하지 못해 불계패를 당한 이 9단은 2국에서 참고 또 참는 우보전술로 긴 승부를 펼쳐가려고 했지만 전날보다 25수를 더 이어가는데 그치며 돌을 던져야 했다. '이세돌답지 않은 신중한 전략'도 통하지 않았다. 승부처마다 슈퍼 연산력을 자랑하는 알파고의 치밀한 집 계산과 변칙적인 착점이 이 9단을 혼란에 빠뜨렸다.


이세돌 9단은 2연패를 당한 뒤 공식 기자회견에서 "내용상 정말 완패였다"며 "조금도 앞섰다는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패배를 인정했다.


흑을 잡은 알파고는 13수부터 변칙적으로 나왔다. 우하귀에서 정석을 따라가다 돌을 벌리지 않은채 느닷없이 상변 중앙으로 돌을 옮기는 파격 포석을 들고나온 것이다. 바둑 TV를 통해 해설한 김성룡 9단은 "어! 인간 바둑에서는 처음 보는 수"라고 놀라움을 표시할 정도의 변칙수였다.


우변 백돌에 어깨를 짚는 알파고의 37수도 파격이었다. 김 9단은 “상상도 못했던 수다. 프로기사들이 배워야 할 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9단은 이 한수에 대응하는데 10분 가까이 장고를 거쳐야 했다. 중반 싸움에서 하변에 집을 만들어 다소 앞서나가던 이 9단은 중앙 백 대마를 공격당하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잇따른 맥점에 수읽기가 불확실한 듯 좌상 중앙의 다섯 점을 내주는 대신 우상귀 흑집을 허물어내는 바꿔치기를 단행했다. 하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우상변에서 시작되는 흑집 허물기를 통해 승부수를 던질 기회를 잡았지만 패감 부족으로 승부수인 패싸움도 걸어보지 못했다.


불리한 형세를 뒤집는데 결국 실패한 이 9단은 2연패를 당한 채 11일부터 같은 장소에서 3~5국에서 대역전을 노려야 하는 막다른 상황에 몰렸다.


해설을 한 이희성 9단은 “이세돌 9단이 안정적인 운영에 치우치다보니 알파고의 이상한 수를 추궁하지 않았다”고 패인을 분석했다.


일부러 ‘이세돌답지 않은 신중한 전략'으로도 알파고를 잡지 못해 눌린 기세로는 1승을 건질 수 있겠느냐는 비관론도 제기되고 있다. 김성룡 9단은 알파고에 대해 “강하다. 그것도 굉장히 강하다”라고 평가하며 “이제는 한 판만이라도 이기는 게 이세돌 9단에겐 대단한 일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성규
정성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