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TV, 2016 하계 다보스포럼 주제 '4차 산업혁명의 영향' 조명

유원형 / 기사승인 : 2017-12-24 23:48:19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원형 기자] 지난 3월 이세돌과 알파고의 세기적 바둑 대결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한국이 가야 할 미래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이나 로봇기술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다. 증기기관으로 대표되는 1차 기계화 혁명, 전기를 기반으로 2차 대량생산 혁명, 컴퓨터와 인터넷이 주도한 3차 지식정보 혁명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산업혁명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리랑TV는 ‘목요기획’으로 ‘새로운 미래의 물결 4차 산업혁명’ 3부작을 마련한다. 이 시간을 통해 오는 6월 26일 중국 텐진에서 열리는 하계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 하계대회)의 주제인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은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올까? 아리랑TV는 '목요기획'으로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새로운 미래의 물결을 집중 조명하는 3부작을 마련한다. [사진= 아리랑TV 제공]


이번 4차 산업혁명 목요기획은 오는 9, 16, 23일 밤 10시에 아리랑TV의 대표적인 뉴스프로그램인 ‘뉴스센터(Newscenter)’ 통해 볼 수 있다.


9일 1부에서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과의 대담을 통해 ‘미래성장산업 R&D 계획’을 듣는다. 최 장관은 경제 전체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는 시대에 산업혁명이라는 큰 변화에 대해 우리 정부가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를 들어본다.


16일 2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산업 분야와 생산 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킬 지를 살펴본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산업생태계 변화에 두려움을 넘어 공포심마저 갖고 있다. 특히 많은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이후 인공지능과 로봇이 중심이 되는 분야에서 2020년까지 세계적으로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새로운 알고리즘에 발맞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떠오를 유망 직종과 신종 일자리를 예상해 본다.


23일 3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유경제’와 ‘정보통신기술(ICT)’의 접목으로 생겨 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를 통해 변화와 혁신의 방향을 알아본다. ‘플리토’ ‘우버’ ‘에어비앤비’는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대표적인 공유경제 서비스 기업들이다. 이 기업들의 성장 비결을 분석해 보면서 새로운 사업 모델 구상 방안과 방향을 짚어 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원형
유원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