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 활력 불씨 될까?

김민성 / 기사승인 : 2015-09-17 16:18:18
  • -
  • +
  • 인쇄

[메가경제 김민성 기자] 해묵은 경제 현안인 원화 화폐개혁 문제가 다시 언론의 조명을 받고 있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장에서 이 문제에 대한 질의 답변이 나온데 따른 결과다.


이 자리에서 원화의 화폐개혁에 대해 시원한 결론이 내려진 것은 아니다. 워낙 민감한 문제인 만큼 화폐개혁 필요성을 주장하는 측이나 통화 정책 최고 책임자나 섣부른 결론을 유보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의자나 답변자인 이주열 한은 총재 모두 화폐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이뤘다.


화폐개혁은 우리 경제의 오랜 숙제중 하나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해 봄 미국을 방문해 워싱턴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원화 화폐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말한 적이 있다. 그 때도 이주열 총재는 화폐개혁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워낙 민감한 사안인 만큼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화폐개혁은 '리디노미네이션' 방식이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네 차례 단행된 '디노미네이션'과 달리 '원'이란 명칭을 그대로 유지한 채 액면상 '0'의 숫자를 줄여 단위만 바꾸는 화폐개혁 방식을 의미한다.


화폐개혁은 양날의 칼이다. 활용하기에 따라 경기 회복, 지하에 숨은 돈의 양성화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위가 너무 커 발생하는 실생활과 회계처리 과정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도 화폐개혁이 지닌 장점일 수 있다.


화폐개혁 논의의 배경엔 우리나라의 경제적 자존심도 자리하고 있다. 환율이 그 나라 국력과 경제력을 대변한다는 측면에서 볼때, 기축통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은 그 수치가 지나치게 높은게 사실이다.


하지만 화폐개혁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데다, 추진 과정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자칫 물가 폭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여지도 있다. 화폐개혁에서 타이밍을 중시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래서 김정일 정권 말기 실패한 북한의 화폐개혁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민성
김민성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더 제너레이션 매치’ 티켓 증정 이벤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리코스포츠에이전시가 주최하는 ‘더 제너레이션 매치 상상인·메디카코리아’의 현장 관람 티켓 증정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매치는 1900년대생 베테랑 선수들과 2000년대생 라이징 스타들이 세대를 대표해 맞대결을 펼치는 이벤트 경기다. LG 트윈스 김현수와 임찬규, 삼성 라이온즈 원태인, 강민호, 두산 베어스

2

IBK기업銀,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지난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서울특별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장학재단과 공동으로 개최한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서울형 강소기업 및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미래전략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 74개사와 4000여 명 이상의 구

3

발목에서 뚝 소리 나면 인대 손상 의심해야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힘찬병원(대표원장 이수찬)이 자체 유튜브 채널 '수찬's 관절토크'를 통해 발목 인대 손상의 단계별 증상 및 관리 방안을 소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콘텐츠에서 류승열 진료원장은 발목 인대 손상을 심각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대응법을 제시했다. 류 원장에 따르면 1도 손상은 인대가 늘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