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출생아수 지난해 동월 대비 5.8% 감소...가임여성 감소, 엎친데 덮친 격

장찬걸 / 기사승인 : 2016-07-29 16:18:59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우리나라의 지난 5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8%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에 나타난 내용이다. 출생아 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가임여성 감소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임여성 감소는 혼인 기피, 혼인 후의 출산 기피 등과 맞물려 우리나라의 출생아 감소를 부채질하는 주된 요인이다.


가임여성은 15~49세 연령층의 여성을 지칭한다. 이 숫자 자체가 매년 급속히 감소하고 있는게 오늘날 우리의 현실이다.


가임여성 감소는 우리나라가 저출산 시대로 접어들 당시에 태어난 여성들이 이제 속속 가임기에 들어서고 있는 것과 관련이 깊다.


실제로 현재 가임여성 감소 현상은 실감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가임여성 인구는 2013년 1300만 2000명을 기록한 것을 끝으로 줄곧 1200만대에 머물고 있다. 2014년의 가임여성 인구는 1290만9000명이었다. 그 이후 가임여성 수는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가임여성 감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최근 수년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최근의 연도별 합계출산율은 2013년 1.19명, 2014년 1.21명, 그 다음해 1.24명 등이었다.


그러나 이는 일종의 통계의 마술이라 할 수 있다. 합계출산율은 가임여성 1명이 일생 동안 낳는 아이의 수다. 즉, 1인당 평균 출산아 수는 다소 늘었지만 가임여성 수 자체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제 출생아 수는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마치 우리나라의 신생아 수가 매년 증가하는 듯한 착시를 일으키고 있다.


가임여성 감소 외에 혼인 기피와 혼인 후 출산 기피도 출생아 수 감소의 빼놓을 수 없는 요인들이다. 이같은 현상은 여성집단의 고학력화, 사회 진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근본적인 원인을 파고 들자면 일과 육아의 양립이 어렵고 양육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여성의 고용률이 증가하면 합계출산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오래된 상식이다. 우리의 경우 여성이 가사와 양육을 도맡아 하는 풍습 탓에 다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보다도 출산율이 형편 없이 낮은 편에 속한다. OECD 국가 중 우리보다 여성 고용률이 현저히 낮으면서도 합계출산율은 훨씬 높은 터키나 멕시코의 사례를 보면 우리 사회의 출산율 빈곤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결국 출산율 저하를 극복하는 방법은 육아에 대한 사회적 지원 확대, 가사의 남녀 분담 확대 등이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