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60대가 대세....유럽 각국서도 일반화

조철민 / 기사승인 : 2016-12-30 11:47:47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우리나라도 새해부터는 모든 직장의 정년퇴임 연령이 60세 이상으로 고정된다. 지금까지 60세 미만 정년제를 택해온 직장들에 있어서 60세 이상으로의 정년연장은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이다.


정년연장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견해가 많다. 최근 한국은행이 개최한 '2016년 한국은행 경제전문가 초청 워크숍'에 나온 장민 조사국장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정년연장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


장 국장은 울해 우리나라의 생산가능 인구 수를 3700만명으로 추산하면서 당장 내년부터 그 수가 10% 정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정년연장이 필요하다는게 그의 주장이었다.


장 국장은 일본이 65세, 독일이 67세로 정년연장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우리도 정년연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못지 않게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는 유럽 각국들은 정년연장에 적극적이다. 이미 67세로 정년연장을 단행한 독일에서는 중앙은행 주도로 정년을 69세로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독일은 2029년까지 정년을 만 67세로 하도록 정해두고 있다. 그런데 중앙은행이 2030년부터 정년을 2년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것이다.


프랑스는 3년 전부터 정년을 기존의 60세에서 62세로 늘렸고, 스페인도 같은 해 65세에서 67세로의 정년연장을 단행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2012년부터 남성의 정년은 65세에서 66세로, 여성 정년은 60세에서 62세로 각각 연장했다. 여성의 정년은 2018년까지 66세로 올라가도록 정해져 있다.


영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정년이 65세로 정해져 있었으나 5년 전부터는 아예 정년을 폐지했다.


유럽 각국이 이처럼 경쟁적으로 정년연장에 나서는데는 그만한 이유들이 있다. 대표적 이유는 고령 인구 증가로 인한 연금지출 급증과 노동력 부족의 심화 등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철민
조철민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