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청년백수 역대최대, 기록 경신의 끝은 어디?

조승연 / 기사승인 : 2017-01-15 11:58:47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청년백수 역대최대란 말이 올해엔 사라질 수 있을까. 최악의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지난해 청년백수 비율이 역대최고를 기록했다. 한번도 취업해본 적이 없는 청년실업자 수 역시 역대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청년 실업자 중 취업 경험이 전무한 청년이 차지하는 비율도 예외 없이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청년 취업과 과련한 모든 지표가 최악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9.8%로 집계됐다. 청년을 지칭하는 연령대는 15~29세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전년보다 0.6%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최근 수년간 청년실업률을 보면 2012년 7.5%, 2013년 8.0%, 2014년 9.0%, 2015년 9.2%였다.


청년백수 역대최대를 실감케 하는 또 다른 자료는 취업 경험이 전혀 없는 청년실업자의 증가세다. 지난해 그 수가 8만 4000명에 달했다. 2000년부터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최대치다. 취업 무경험 청년실업자 수는 매년 2월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2월에 그 수가 13만 3000명까지 올라갔다. 이후 6~7월에는 그 수가 10만~11만명 선을 유지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청년실업자 가운데 취업 무경험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19.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11%대를 유지했으나 2015년과 2016년엔 연이어 19%대의 기록을 나타냈다.


지난 한햇동안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의 수는 27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도 청년백수 역대최대 현황을 뒷받침하는 요소중 하나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할 때 취업 유경험자 중 1년 이상 실업상태인 청년은 13만 200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4년의 11만 7000명에 비해 12.8%가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실업률은 3.7%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청년백수 역대최대를 불러온 청년층 실업률이 같은 기간 0.6%포인트 상승한 것에 비하면 그나마 증가폭이 작은 편이다.


청년백수 역대최대 기록과 관련, 통계청 관계자는 "질 낮은 일자리에 취업했다가 실망하고 퇴사한 뒤 양질의 일자리를 찾으려는 사람이 늘어난데 따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