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음식 배달 앱은 무엇?' 알리바바·텐센트, 맞붙는 중국 양대 IT기업

조철민 / 기사승인 : 2018-08-14 10:38:12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중국의 양대 IT기업인 알리바바와 텐센트 그룹이 세계 1위의 음식 배달 플랫폼 자리를 놓고 맞붙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2일(현지시간) 중국 IT기업인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음식 배달 앱 서비스 1위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면서 두 업체의 싸움이 마치 전쟁을 연상케 한다고 보도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는 '어러머(?了?)'라는 음식 배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어러머의 투자자였던 알리바바는 지난 4월 지분을 추가로 인수해 어러머를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텐센트는 역시 어러머와 쌍벽을 이루는 배달 서비스 플랫폼인 메이퇀디엔핑(美?点?)의 최대 주주다.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메이퇀은 외식배달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으나, 이후 인수·합병을 통해 공유자전거 서비스에서 여행 예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 중이라고 한다. 특히 메이퇀은 홍콩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데, 기업공개(IPO)가 이뤄질 경우엔 기업가치가 약 6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의 음식 소매 및 서비스 시장 규모는 총 1조2700억 달러(약 1천440조 원)에 달한다. 중국의 음식 소매 및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3년까지 약 14조1300억 위안(2천33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어러머와 메이퇀은 더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앱 이용자들에게 보조금을 주면서 경쟁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메이퇀은 작년 이용자들을 위한 인센티브 행사에 총 42억 위안(약 6900억 원)을 사용했으며, 메이퇀은 이번 여름에도 30억 위안(약 5000억 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주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

이에 맞서 어러머도 다음 달부터 스타벅스와 제휴해 스타벅스 커피를 배달하는 등 다양한 작전을 구사하고 있다. 고객을 늘리거나 음식 배달 시 꽃과 같은 다른 물건을 배달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매출을 확대하는 영업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메이퇀 대변인은 "우리는 사업이 확장함에 따라, 커진 규모 때문에 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방식으로 소비자와 상인들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철민
조철민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