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양육수당, 초등학교 취학 연도 2월까지 연장 지급

장찬걸 / 기사승인 : 2019-01-15 11:18:32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6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은 올해부터 바뀌는 가정양육수당 제도의 변화에 대해 주의깊게 봐야 한다. 올해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기간이 초등학교 취학 연도의 2월까지로 2개월 연장된다. 지난 13일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만 6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아동수당이 지급된다고 밝혔다.


복지부 성창현 아동복지정책과장은 "국민이 태어나면서부터 국가에서 수당을 지급하는 아동수당은 아동이 우리 사회의 일원임을 인정하는 최초의 보편적 사회수당"이라며 "보호자께서는 아동수당을 적극적으로 신청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미래를 위해 사용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기간이 초등학교 취학 년도의 2월까지로 2개월 연장된다. [사진= 연합뉴스]
올해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기간이 초등학교 취학 연도의 2월까지로 2개월 연장된다. [사진= 연합뉴스]

2018년 도입된 아동수당은 그간 소득·재산 하위 90%인 가구에 지급되었으나,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아동수당법'이 개정됨에 따라 올해부터는 부모의 소득·재산과 무관하게 지급된다.


올해 1~8월 개정법 적용대상은 만 6세 미만 아동이다. 즉, 2013년 2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은 아동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다.


이번 법 개정에 따라 올해 9월부터는 아동수당 대상이 만 6세 미만에서 만 7세 미만으로 확대되며, 관련 사항은 7∼8월 중 별도 안내할 예정이다.


개정된 '아동수당법'은 1월 15일 공포되며, 이날부터 보편 지급되는 아동수당을 신청할 수 있다. 1월 15일부터 3월 31일 사이에 신청하면 4월 25일에 1월분 수당부터 소급하여 한 번에 지급받게 된다.


이번 개정에 따라, 2019년 4월 기준으로 만 6세 미만 아동 중 약 20만명이 추가로 아동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아동수당을 신청했으나 소득·재산 기준을 초과하여 탈락된 아동이 약 11만명이고, 기준 초과를 예상하여 신청하지 않은 가구 등의 아동이 약 9만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아동수당을 신청했으나 소득·재산 기준을 초과하여 탈락된 경우, 읍·면·동 주민센터 담당자가 직권으로 신청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아동의 보호자가 다시 한번 아동수당을 신청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아동수당을 한번도 신청하지 않았다면, 직접 신청해야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