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빅데이터로 우리동네 생활교통비 알아보니

장찬걸 / 기사승인 : 2019-01-22 17:58:07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교통비는 서민경제와 직결된다. 그런데 살림살이가 힘든 계층이 상대적으로 생활교통비를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경기 외곽 지역으로 갈수록 일상에서 지출하는 생활교통비가 서울 인접지역 대비 최대 3.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김종학 인프라정책연구센터장은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 비용”을 통해 경기도 560개 읍·면·동의 생활교통비용을 추정했다.


김 센터장은 보고서를 공개하며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일상적 통행에 대한 불편함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대도시 간 통행보다는 거주지에서 주변 읍·면·동 간 통행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비용 [사진= 국토연구원 제공]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비용. [사진= 국토연구원 제공]

생활교통비용은 거주지에서 다른 읍·면·동으로 하루 1회 왕복했을 때 발생하는 요금·유류비 등 직접비용과 시간 등 간접비용의 합을 말한다. 연구진은 '거주지에서 주변 읍·면·동 간' 통행을 일상적인 통행으로 정의했다.


생활교통비용은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경기도 읍·면·동별 평균가구 소득을 5분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월 평균소득 하위지역(250만원 이하)은 상위 지역(520~660만원) 대비 30만원가량 생활교통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하'(250만~317만원) 지역과 비교하면 교통비로 한달에 약 14만원을 더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외곽일수록 생활교통비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접 경기 남부권역의 생활교통비용은 월 20만원으로 평균보다 낮은 반면, 북부권역은 이보다 2배가량 많은 40만원, 경기 외곽은 3.5배 높은 70만원으로 집계됐다.


생활교통비용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서울과 가까운 과천, 광명, 부천 등을 비롯해 수도권 1기 신도시는 분당구(4.6%), 군포·안양 동안구(4.9%), 용인 수지구(5.2%) 등은 5%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경기도민의 월소득에서 생활교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인 약 9%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2기 신도시인 남양주(10%), 화성(11%), 광주(12%) 등은 평균을 웃돌았고, 가평(20%), 연천(19%), 양평, 포천(이상 18%) 등 경기 외곽 지역은 3배 이상으로 격차를 드러냈다.


김종학 센터장은 "빅데이터 융합을 통한 생활교통비 추정이 필요하고, 생활교통비용 파악을 통해 지역 간 소득수준별 격차 완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부와 지자체가 교통정책을 펼 때 감안할 필요가 있는 자료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