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워라밸' 개선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10 18:00:19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지난해 2월 국회는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안은 ‘일주일은 7일’이라는 내용과 함께 주 최대 근로시간을 기존 68시간(평일 40시간+평일 연장 12시간+휴일근로 16시간)에서 52시간(주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줄였다. 종업원 300인 이상의 사업장과 공공기관은 2018년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먼저 도입됐다.


주 52시간 근무제 이후 직장인들의 '워라밸'(워크-라이프 밸런스)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여가 시간이 늘어나며 자기계발이나 취미활동을 위한 지출이 크게 증가하면서다. 교육비와 오락문화 지출 증가율은 각각 9년과 7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교육비 지출(명목)은 42조2479억원으로 전년보다 3.2%(1조3107억원) 늘었다.


교육비 지출 증가율은 2009년(3.2%)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다. 금액 기준으로 사상 최대였던 2011년(42조8121억원)에 육박했다.


교육비 지출은 2012년부터 4년 연속 감소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든 여파가 있었다. 그러다가 2016년(0.5%) 증가세로 돌아섰고 2017년에 2.8% 늘었으며 지난해에는 증가율이 더 높아졌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개인시간이 늘어나자 퇴근 후 어학원이나 문화센터를 찾는 젊은 직장인들이 늘어난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오락문화 지출은 67조2357억원으로 4.6% 증가했다. 2011년(5.8%)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해 소매판매액 지수를 보면 오락, 취미, 경기용품 판매가 전년보다 12.3% 늘어나며 2010년(13.0%)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유통업체에서는 아웃도어, 캠핑, 게임용 제품 등의 매출이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야근이 줄어들자 직장인들이 '워라밸'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신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