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스카이캐슬' 엄존…부모소득이 교육수준 바꾼다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12 18:31:25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저를 믿으셔야 합니다. 다 감수하시겠다는 뜻이냐고 물었습니다, 어머님."


지난달 종영한 JTBC 드라마 '스카이캐슬'에 등장한 '김주영 선생'의 대사다. 최상류층 집안 자녀의 교육을 다룬 이 작품은 23.8%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케이블·종편 채널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스카이캐슬'은 대한민국 사회에 뿌리깊게 박힌 자녀교육 열망의 민낯을 드러냈다. 극사실적인 주제는 시청자들에게 공감과 재미를 전했다.


[사진 = JTBC '스카이캐슬']
[사진 = JTBC '스카이캐슬']

문제는 '스카이캐슬'에서 발생한 문제가 현실에서도 그대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사교육비 지출에서도 빈부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 학부보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교육부는 통계청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사교육비 총액은 19조5000억원으로 전년(18조7000억원)보다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 중에서도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교과의 사교육비 총액이 14조3000억원으로 전년(13조6000억원) 대비 7000억원 증가했다. 예체능 및 교양은 5조1000억원으로 전년(4조9000억원) 대비 3.1% 늘었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 8조6000억원, 중학생 5조원, 고등학생 5조9000억원이었다.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도 29만1000원으로 전년(27만2000원) 대비 약 2만원(7%) 증가했다. 특히 고등학생의 작년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32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로 가장 많은 12.8%의 증가율을 보였다. 초등학생(26만3000원), 중학생(31만2000원)은 각각 전년 대비 3.7%, 7.1% 증가했다.


심각한 점은 부모의 소득에 따라 사교육비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5000원, 200만원 미만 가구는 9만9000원으로 5.1배 차이가 났다.


지역별로는 서울(41만1000원)·경기(32만1000원)·대구(30만3000원) 등이 높았고, 충남(18만7000원)이 가장 낮았다.


계층 이동의 사다리라 불리던 교육마저 부모의 경제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은 이제 현실성 없는 격언이 돼버린지 오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일지 작 연극 '진술', 19년 만의 귀환
[메가경제=김진오 기자] 2001년 초연 이후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하일지 작 연극 '진술'이 19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2006년 강신일 배우와 박광정 연출의 버전 이후, 이번에는 배우 김진근과 연출 김종희의 만남으로 새롭게 부활한다. 극단 씨어터판(Theatre Pan)이 제작하며, 오는 11월 26일부터 12월 7일 까지 대학로

2

에어프레미아, 신입 승무원 첫 나눔으로 따뜻한 비행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의 신입 객실승무원들이 첫 공식 활동으로 보육원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비행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최근 서울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에서 신입 객실승무원 약 23명이 참여한 가운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선풍기 청소, 놀이물품 세척, 창틀 청소 등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쾌

3

강원랜드, 세계 최초 AI 기반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 본격 가동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지난 9월부터 세계 최초로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카지노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을 도입해 2개월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스템은 슬롯머신과 게임 테이블에서 수거된 현금을 로봇이 자동 회수해 이송·계수·검사·포장까지 수행하는 첨단 설비다. 이를 통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