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4캔 만원' 수입맥주서 발암물질...식약처 "확인중"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4-26 13:39:50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최근 메신저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농약 수입 맥주 리스트가 퍼지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해당 리스트에는 편의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수입 맥주가 포함돼 있어 파급력은 더 컸다.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관계당국이 검사에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6일 국내에 유통되는 수입맥주 40종과 수입와인 1종을 대상으로 농약 성분인 글리포세이트 잔류량을 검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글리포세이트는 다국적 유전자재조합(GMO) 종자회사이자 농약회사인 몬샌토가 생산하는 제초제 '라운드업'의 주요 성분으로,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류한 물질이다.

미국 소비자단체인 US PIRG는 최근 미국에서 유통되는 맥주 15종과 와인 5종을 조사한 뒤 그 내용을 보고서를 통해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맥주 브랜드별 글리포세이트 검출량은 칭따오가 49.7ppb(10억분의 1)로 가장 많았고 쿠어스라이트 31.1ppb, 밀러라이트 29.8ppb, 버드와이저 27.0ppb, 코로나 25.1ppb, 하이네켄 20.9ppb 등이었다.


국제보건기구(WHO)가 밝힌 글리포세이트 1일 허용 기준은 1ppm(100만분의 1)이다. 수입맥주 검출량 기준인 ppb로는 1000ppb까지 허용하는 셈이다. 즉, 리스트에 나온 맥주에서 검출된 글리포세이트는 WHO 허용기준을 넘지 않는다. 미국 환경청(EPA) 또한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검출량이라는 의견을 냈다.


글리포세이트를 두고 일부 전문가들은 발암성분이라 주장하는 반면 다른 과학자들은 농약으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등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식약처는 검사가 끝나는 대로 그 결과를 발표한다. 식약처는 지난해 5월 비슷한 우려가 고개를 들자 국산 맥주 10종을 검사한 바 있다. 결과 발표 시 국산 검사 결과도 함께 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