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표 동반하락 스톱…소비는 소폭 감소

장찬걸 / 기사승인 : 2019-05-31 09:42:16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산업생산과 투자가 두달 연속 동반 증가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1개월 만에 동반 하락을 멈추며 보합세로 돌아섰다. 소비는 전달의 기저효과로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월 전(全)산업생산지수(농림어업 제외, 계절조정계열)는 107.5로 전월 대비 0.7% 상승했다. 전달 대비 전산업생산지수는 지난 2월에 2.7% 하락했다가 3월 들어 1.5% 반등한 뒤 상승세를 이어갔다.


분야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1.6%, 서비스업 생산은 0.3% 증가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2.5% 늘었고, 평균가동률은 1.0%포인트 오른 72.6%를 기록했다.


소비 상황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1.2% 감소했다. 그러나 이는 전달인 3월의 지수 증가폭이 3.5%를 기록했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의 영향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지수는 지난 2월 0.5% 감소한 이후 오르내리는 모습을 연출했다.


4월 설비투자지수는 전월에 비해 4.6% 상승했다. 2월에 10.4% 내렸다가 3월 10.1% 올른 이후 이번에도 상승행진을 이어갔다.


경기지표는 보합세를 보였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에 이어 98.5를 유지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4월부터 12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이번에 겨우 보합세로 돌아섰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과 같은 98.2였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6월부터 10개월 연속 하락해왔다.


앞서 두 지표는 11개월 연속 동반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지표의 동반 하락이 6개월을 넘기면 경기가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을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수치는 국내 경기가 최근 들어 한동안 하강 국면을 이어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전산업생산지수와 설비투자가 2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흐름이 개선됐다”면서 “동행지수 보합도 이 같은 흐름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R&D 관리체계‘글로벌 최고등급’ 인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글로벌 업무 프로세스 역량평가 모델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버전 3.0’ 인증에서 연구개발(R&D) 부문 최고등급(레벨5)을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CMMI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역량 평가 모델이다. 회사의 관리 프로세스를 정량적으로 분석

2

서울사이버대,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지난 11일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는 속눈썹펌 분야의 전문성과 안전성을 확립하고, 올바른 시술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 소속 장학생들이 서울사이버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절차 및 협

3

코오롱생명과학, 美 신경과학학회서 ‘KLS-2031’ 주목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코오롱생명과학(대표 김선진)이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 2025)에서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KLS-2031’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회사 측은 12일, 오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SfN 2025에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PDPN)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