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등 '평촌 IDC 지능형빌딩시스템 공사 담합'에 과징금 1억4900만원

유지훈 / 기사승인 : 2019-09-25 18:21:12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LG CNS, GS네오텍, 지멘스 3사가 LG유플러스의 평촌 인터넷데이터센터 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사실이 적발돼 과징금 제재를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평촌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지능형빌딩시스템(IBS) 구축공사 입찰에서 사전에 낙찰예정자와 투찰금액을 합의한 LG 씨엔에스( CNS)와 GS네오텍, 지멘스에게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1억 4900만 원을 부과한다고 25일 밝혔다.


담합을 주도한 LG CNS에게는 7500만원, 들러리로 나선 GS네오텍과 지멘스는 각각 3700만원씩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평촌 IDC 지능형빌딩시스템 공사 입찰 담합 사실을 적발해 LG CNS와 GS네오텍, 지멘스에 총 1억4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사진= 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는 평촌 IDC 지능형빌딩시스템 공사 입찰 담합 사실을 적발해 LG CNS와 GS네오텍, 지멘스에 총 1억4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사진= 연합뉴스]


법 위반 내용을 보면, LG CNS는 LG유플러스가 지난 2015년 1월에 발주한 평촌 인터넷데이터센터 지능형빌딩시스템 구축공사 입찰에서 자신이 낙찰받을 수 있도록 GS네오텍과 지멘스에게 들러리 입찰 참여를 요청해 합의했다.


이후 LG CNS는 지멘스가 제안서 평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지멘스 제안서를 대신 만들어줬고, GS네오텍과 지멘스의 투찰금액이 기재된 내역서도 대신 작성해 전달했다.


들러리로 나서기로 한 GS네오텍과 지멘스는 LG CNS로부터 사전에 전달받은 금액대로 입찰에 나서면서 결국 LG CNS가 낙찰자로 선정됐다. 공사금액은 31억3100만원이었다.


LG CNS가 이처럼 2개 사를 들러리 세운 이유는, 3개 사 이상이 참여해야 입찰이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에 LG CNS는 기술력이 부족한 지멘스의 제안서를 대신 작성해 줬고, GS네오텍에 들러리 요청을 하면서는 자사가 낙찰 받게 되면 공사 물량 중 약 15억 원을 하도급 주기로 했다.


LG CNS는 경쟁사인 GS네오텍과 지멘스와의 합의를 통해 안정적인 낙찰과 동시에 유찰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LG CNS는 공사 수주 금액이 예상보다 낮아져 실제로는 GS네오텍에 공사 물량을 배분하지 못했다.


공정위는 “이번 조치를 통해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지능형빌딩 구축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사업자들을 엄중 제재함으로써, 향후 관련 입찰에서 경쟁 질서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레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국제 친환경인증(LEED)’ 업무협약 체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미국 그린빌딩협회(이하 USGBC)’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지역단위 친환경인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SGBC는 186개국에서 활용되는 친환경 평가인증 체계인 ‘LEED’를 주관하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다. LEED는 건물이나 도시·지역단위로 부여

2

국가철도공단, 탄소중립 실현 위한 ‘SBTi 인증 본격 추진’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탄소배출 관리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인증을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기업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3

철도공단 충청본부, 오송차량기지서 ‘철도 재난대응훈련’ 실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 충청본부는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복구 역량 강화를 위해 청주시청·소방서·경찰서·육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지진 대응 철도재난 합동훈련’을 실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훈련은 공단 오송차량기지에서 약 2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진으로 인한 열차 탈선 및 화재 상황을 가정하여 시민 안전 확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