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수출액 반도체·디스플레이 부진에 11개월째 내리막...휴대폰은 증가

김기영 / 기사승인 : 2019-10-21 19:31:35
  • -
  • +
  • 인쇄
9월 ICT 수출입 수지 70억 달러 흑자…일본 수출 17.2% 증가

[메가경제 김기영 기자]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부분품 수출 확대로 휴대폰 증가했으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감소로 지난해 11월부터 11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9월 ICT 수출액(잠정치)은 158억1천만달러로 22.0% 감소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9월 전체 산업 수출(447억1천만달러)의 감소폭(11.7%)보다 훨씬 컸다. 지난해 9월 ICT 수출은 202억7천만달러였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는 85억8천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1.5%가 줄어 ICT 수출 감소폭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반도체 수출액이 크게 준 이유는 메모리반도체의 단가 하락과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된 때문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4기가바이트(Gb) D램 현물가격은 6월 1.82달러, 7월 1.91달러에 이어 8월에 2달러로 반등하는듯했으나 9월에는 다시 1.91달러로 떨어졌다. 지난해 9월에는 약 3.7달러였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메모리반도체가 여전히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시스템 반도체는 파운드리 수출 호조세로 역대 최고 수출액 24억4천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6%가 증가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OLED 패널은 증가했지만 중국발 공급과잉에 따른 LCD 패널 생산량 조정으로 1년 전보다 20.0% 하락한 20억5천만달러에 머물렀다.


휴대폰은 11억8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2.8% 증가했다.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해외 생산공장 부품 수요확대 등으로 작년 7월 이후 14개월만에 증가세 전환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추이.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2차전지와 TV, 컴퓨터도 나란히 호조세를 보였다.


2차 전지는 6억1천만달러로 7.2%가 늘었고, 부분품을 포함한 TV 수출액은 2억1천만달러로 79.3% 크게 개선됐다. 주변기기를 제외한 컴퓨터도 1억5천만달러로 39.3% 증가했다.


중소기업 ICT 수출은 총 14억6천만달러로 1.4%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홍콩을 포함한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77억8천만달러로 33.1%나 크게 감소한 것을 비롯, 미국(14억9천만달러, 13.5%↓)과 EU(9억3천만달러, 7.1%↓)에서도 줄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규모 및 증감률, 주요 스마트폰 업체별 세계시장 점유율.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반면 베트남은 반도체(9억6천만달러, 6.7%↑)와 휴대폰(2억9천만달러, 47.4%↑)의 수출 호조 속에 총 26억4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면서 6개월 연속 증가했다.


일본도 3억8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17.2% 늘었다.


수입액은 총 87억7천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8%를 증가했다.


반도체 수입액은 시스템반도체(18억4천만달러, 11.1%↑)와 메모리 반도체(14억6천만달러, 13.6%↑)가 나란히 늘면서 총 39억달러로 9.4% 증가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주요국가별 수출 추이.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반면 디스플레이 수입액은 3억3천만달러로 35.0% 감소했다. 부분품(1억2천만달러, 17.1%↓)과 LCD패널(1억달러, 61.9%↓)은 줄었고, OLED패널(1억달러, 21.7%↑)은 늘었다.


휴대폰 수입액은 부분품(5억4천만달러, 13.9%↑)을 중심으로 늘면서 8억7천만달러로 44.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홍콩을 포함한 중국이 27억3천만달러로 15.6% 감소했고, 일본도 8.8억달러로 1.0% 줄었다.



디스플레이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LCD 가격 추이.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반면 베트남(10.6억불, 58.5%↑)과 미국(6.6억불, 9.5%↑)은 수입액이 늘었다.


이로써 9월 ICT 수지는 중국·베트남·미국·EU 등 주요국에 대해 흑자 기조를 지속하면서 70억4천만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지난해 9월 흑자 122억8천만달러에 비해서는 43%(52억4천만달러)나 크게 줄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기영
김기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