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휴가 '렌터카 이용 피해' 급증! 수리비과다 '피해구제 신청' 많아

이승선 / 기사승인 : 2020-07-20 11:27:44
  • -
  • +
  • 인쇄

[메가경제= 이승선 기자]렌터카 관련한 소비자피해가 가장 많은 시기는 여름 휴가철이며, '사고 관련 피해'에 대한 구제신청이 가장 많았고, 그중 이용자들은 '수리비 과다청구'에 대한 불만이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소비자원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접수된 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 819건을 분석한 결과, 2017년 290건, 2018년 253건, 2019년 276건으로 매년 신청 건수가 늘고 있으며, 2019년에는 전년 대비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 휴가 절정기인 7~8월에 가장 많아 모두 173건으로 전체의 21.1%에 이르렀다. 7월이 93건(11.4%), 8월이 80건(9.8%)이었다.


사업자 소재지별로는 제주·서울·경기 등 3개 지역이 총 724건으로 88.4%를 차지했다. 제주가 40.8%(33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35.2%(288건), 경기 12.5%(102건)가 뒤를 이었다.


최근 3년간 연령대가 확인된 피해구제 신청 733건을 분석한 결과 30대 257건(35.1%), 20대 246건(33.6%)으로, 20~30대가 68.6%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17년~19년)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17년~19년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최근 17년~19년 지역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최근 17년~19년 지역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렌터카 서비스 형태 중에서는 '장기렌터카'와 '카셰어링' 소비자 피해가 증가했다.


장기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017년 27건에서 지난해에는 45건으로 2년 새 66.7%나 급증했고, 카셰어링은 2017년 69건에서 지난해 78건으로 2년 새 13.0%가 늘었다. 반면 일반렌터카 관련 신청은 2017년 194건에서 지난해 153건으로 같은 기간 21.1% 줄었다.


렌터카는 하루 단위인 일반 렌터카와 시간 단위인 카셰어링, 12개월 이상 빌리는 장기렌터카로 이용 기간에 따라 구분된다.


피해 유형은 '사고 관련 피해'가 46.6%(38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 관련 피해' 34.4%(282건), '렌터카 관리 미흡' 5.9%(48건) 등의 순이었다.


서비스 형태 중 일반렌터커와 카셰어링의 경우는 ‘사고 관련 피해’가 각각 50.5%(252건)와 47.7%(105건)로 가장 많았고, 장기렌터카의 경우는 ‘계약 관련 피해‘의 비율은 54.0%(54건)로 가장 높았다.



17년~19년 렌터카 서비스 형태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17년~19년 렌터카 서비스 형태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사고 관련 피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중복 포함), '수리비 과다청구'가 69.9%(267건)로 가장 많았고, 수리 기간 차를 운행하지 못해 발생한 영업손해인 '휴차료 과다청구'가 48.4%(185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면책금·자기부담금 과다청구' 41.6%(159건), '감가상각비 과다청구' 9.2%(3건) 순이었다.


수리비의 평균 청구금액은 약 182만원이었고, 휴차료 청구금액은 약 73만원이었며, 면책금·자기부담금 청구금액은 약 60만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소비자정책위원회는 지난해 렌터카 사고 관련 소비자에게 수리비나 면책금 등이 과다 청구되는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대여 표준약관'의 개정을 공정거래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공정거래위는 렌터카 사업자가 수리비를 청구할 때 차량 수리 명세를 반드시 제공하고, 사고의 경중을 고려해 면책금의 적정 액수가 책정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렌터카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해 차량 계약 전, 인수·반납할 때나 사고 발생 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해달라"고 소비자에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승선
이승선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