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베니트, 세미파이브에 SaaS 기반 'SAP 석세스팩터스' 구축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8-22 07:14:50
  • -
  • +
  • 인쇄
솔루션 최적화 및 IT 인프라 구축 노하우로 인사 시스템 효율적 DX 전환 지원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코오롱그룹 IT서비스 전문 기업 코오롱베니트(대표 강이구)는 반도체 설계 솔루션 기업인 세미파이브(대표 조명현)와 인사관리(HR) 솔루션 ‘SAP 석세스팩터스’ 구축 계약을 맺었다고 22일 밝혔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SAP의 파트너사인 코오롱베니트는 상반기부터 연이은 석세스팩터스 구축 사업 수주에 성공하고 있다. 이는 최근 국내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IT 인프라 사업 수주 가뭄’ 속에서도 코오롱베니트가 국내 대표 IT 솔루션 사업자로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코오롱베니트는 SAP 석세스팩터스를 도입하려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유지 보수 등을 지원한다.


코오롱베니트의 연속적인 사업 성과 배경으로는 기업별 최적 솔루션 제안 및 빈틈없는 HR 시스템 구축 노하우가 꼽힌다. 혁신 인사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세미파이브에게 코오롱베니트는 인사 관리 및 인재 육성 서비스 통합 지원이 가능한 글로벌 HR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 SAP 석세스팩터스를 제안했다. 특히 코오롱베니트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흩어져 있던 세미파이브의 온·오프라인 인사 데이터를 통합해 그룹웨어 등과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인사-평가-근태-보상-온보딩 등 주요 모듈 기반의 HR 전산 플랫폼을 구축하는 청사진을 제공했다.

앞으로도 코오롱베니트는 기업별 조직 특성에 알맞은 인사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최근 수요가 급격하게 높아진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최적화 노하우 및 세미파이브와 같은 반도체·제조 분야 인사 체계 구축 경험을 살려, 다양한 산업 분야 리딩 기업들이 사업을 더욱 고도화하고 효율화 하도록 돕는 전문적인 HR 솔루션 도입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허원창세미파이브 인사팀장은 "기업 맞춤형 솔루션 최적화 역량과 국내 뿐 아닌 글로벌 사업장까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SAP 석세스팩터스의 확장성이 이번 도입 결정의 핵심 요인이었다” 라며, “인사 업무 효율화는 물론 핵심 인재 육성에도 석세스팩터스가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주영 코오롱베니트 ITS본부장은 “클라우드 기반 혁신 HR 솔루션을 도입해 인사 기능을 강화하려는 기업들의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어 “코오롱베니트의 다양한 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역량과, IT 인프라를 구축해 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