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보장범위 크게 넓힌 치아보험 출시···국내 첫 간편치아보험도 선보여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3-14 09:46:27
  • -
  • +
  • 인쇄
치조골이식술 및 재식립 임플란트 치료보장특약 신설로 보장 넓혀
업계 최초 '간편치아보험' 출시...유병력자 가입폭 확대

삼성생명이 치아보험과 간편치아보험을 출시했다. 새 상품은 특약 신설을 통해 치아 관련 질환을 폭넓게 보장한 것이 특징이다. 치조골이식술 및 재식립 임플란트 치료보장특약 신설로 보장범위를 크게 넓혀다. 그리고, 업계 최초로 '간편치아보험'을 출시해 유병력자 가입폭을 확대했다.


삼성생명은 오는 15일부터  '삼성 치아보험' 및 '삼성 간편치아보험'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삼성 치아보험' 및 '삼성 간편치아보험'은 충치 등 치아질환 관련 비용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등 치아를 보존 또는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보장한다.

 

▲ 삼성생명은 오는 15일부터 '삼성 치아보험' 및 '삼성 간편치아보험'을 판매한다 [사진=삼성생명 제공]

우선 주보험에서 △ 임플란트·틀니·브릿지 등 보철치료 △ 금니 등 크라운 치료△ 인레이·아말감 등 보존치료 △ 영구치 발치, 치수치료(신경치료) 등을 폭넓게 보장한다. 또한 가입 후 치아 관리를 통해 영구치를 상실하지 않으면 보험기간 만료 시점에 ‘영구치 유지축하금’을 지급한다.


뿐만 아니라 ‘특정임플란트 치조골이식술’과 ‘재식립 임플란트’ 치료보장 특약을 신설해 임플란트와 관련된 보장을 확대했다.

또한 삼성생명은 업계 최초로 유병자도 가입이 가능한 '삼성 간편치아보험'을 선보인다. 기존의 치아보험은 최근 5년내 치아우식증(충치) 또는 치주질환으로 영구치를 발치하였거나 치주 관련 수술을 받은 경우 가입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상품은 2가지 항목만 고지하면 가입이 가능하다. 고지항목은 △ 현재 틀니(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지 △ 최근 1년 이내에 치과의사로부터 치료, 투약과 같은 의료행위를 받거나 치료가 필요하다고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지 여부이다.

'삼성 치아보험'은 출생 후부터 70세까지, '삼성 간편치아보험'은 30세부터 70세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10년만기 갱신형으로 최대 100세까지 보장한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 '삼성 치아보험'은 치아 관련한 보장을 폭넓게 제공하고, 업계 최초로 유병력자 전용 상품  '삼성 간편치아보험' 출시를 통해 보다 많은 고객들이 중요한 건강자산인 치아에 대한 보장을 준비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