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 반려동물 보험 '펫퍼민트' 가입 13만건 돌파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8 12:39:32
  • -
  • +
  • 인쇄
출시 7주년 기념 반려동물 보험 가입 현황 분석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메리츠화재의 반려동물 보험 전용 브랜드인 ‘펫퍼민트’가 출시 7년 만에 누적 가입건수 13만건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 [사진=메리츠화재]

이날 메리츠화재는 ‘펫퍼민트’ 출시 7주년을 맞아 이 같은 가입 현황을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메리츠화재는 ‘정확한 의료 데이터를 제공해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추구한다’는 펫퍼민트의 취지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매년 반려동물 보험 분석 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18년 10월 펫퍼민트 출시 이후 총 가입 건수는 올해 6월 말 기준 약 13만 5000건으로, 이중 반려견은 11만 5000여 마리, 반려묘는 2019년 4월부터 누적 2만여 마리가 각각 보험에 가입했다.

 

반려견 중에는 포메라니안, 토이 푸들 품종이 각각 1만 4000건 이상으로 많았고, 말티즈와 비숑 프리제 등도 1만건 넘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묘의 경우는 코리안 숏헤어가 6000건 이상으로 가입 최다 건수를 기록했으며, 이어 기타/믹스 고양이, 브리티쉬 숏헤어, 먼치킨 등의 순이었다.

 

반려동물보험에 가입된 반려견의 이름은 보리가 1861건으로 가장 많았고, 코코(1557건), 콩이(1465건), 두부(1234건) 등이 뒤를 이었다. 반려묘는 코코(211건), 레오(187건), 보리(185건) 순으로 집계됐다. 보리의 경우 반려견과 반려묘 모두에서 인기 있는 이름으로 분석됐다.

 

반려견과 반려묘 모두 서울·경기 지역의 가입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반려견 보험금 지급건수 중 가장 많은 사유는 외이도염(1만 6521건)이었다. 이어 위·장염(1만 4495건), 구토(1만 325건), 외이염(9415건) 등의 순으로 보험금 지급이 많았다. 

 

지급 규모별로 원인을 살펴보면 슬개골 탈구로 인해 약 73억원의 보험금이 지급됐다. 소형견 위주, 실내 양육이 많은 국내 반려견 환경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십자인대 손상·파열(23.9억원), 위·장염(19.8억원), 외이도염(19.7억) 등의 사유로도 보험금이 많이 지급됐다.

 

반려묘 보험금 지급건수는 구토(1033건), 위·장염(766건), 결막염(662건) 등의 순이었고, 보험금 지급액은 이물섭식(1.8억), 구토(1.7억), 위·장염(1.5억) 등의 순으로 많았다. 

 

고양이의 경우 그루밍(털 핥기, 정리)에 따른 ‘고양이 헤어볼’ 등으로 인해 구토, 신경성 위염·장염 등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을 적게 마시는 반려묘의 습성으로 인해 방광염도 잘 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승민 기자
신승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