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증가에 올해 2분기 경제 0.7% 성장...민간소비 3.0%↑·수출 3.1%↓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6 13:49:03
  • -
  • +
  • 인쇄
8분기 연속 성장세 유지...수출감소 등 하반기 하방위험
건설투자 0.6%↑·설비투자 1.0%↓…수입 0.8%↓
성장기여도 민간소비 1.4%·정부소비 0.2%...순수출 -1.1%
“남은 분기 0.3%씩 성장하면 올해 2.7% 성장 가능”

올해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수출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등이 증가하며 8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은 2022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한국은행 제공]


전분기인 올해 1분기(0.6%) 보다는 0.1%포인트(p)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에 남은 3, 4분기에 0.3%씩 성장하면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2.7%)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분기별 성장률(전기 대비)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이해 3분기부터 8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전기 대비 성장률을 보면 ‘2.3%→1.2%→1.7%→0.8%→0.2%→1.3%→0.6%→0.7%’이다.
 

▲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지출. [한국은행 제공]

 

성장률이 직전분기보다 높았지만 앞으로가 걱정이다. 한국 경제를 이끄는 한 축인 수출이 1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데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속도와 규모가 커지고 수출을 둘러싼 대외여건과 불확실성은 나빠지면서 올해 하반기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은 커졌다.

부문별로 보면, 올해 2분기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3.0%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3.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정부소비의 경우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1.1%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6%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줄면서 1.0%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을 지탱했던 수출은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3.1% 감소했다. 2020년 2분기(-14.5%)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로, 수출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이다. 1분기에는 전분기보다 3.6% 증가했었다.

수입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0.8% 줄어 1분기(-0.6%)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 GDP에 대한 성장기여도. [한국은행 제공]

2분기 성장률에 대한 성장기여도를 보면, 민간소비가 1.4%포인트, 정부소비가 0.2%포인트로 소비가 전체가 1.6%포인트를 차지했다. 그만큼 소비가 2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반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각 0.1%포인트, -0.1%포인트로 집계됐다.

순수출 기여도는 –1.1%포인트로, 직전분기(1.7%포인트)보다 2.8%포인트나 떨어졌다. 수출 감소가 2분기 성장률을 그만큼 낮춘 것이다.

▲ 경제활동별(업종별) 상장률. [한국은행 제공]

업종별 국내총생산은 제조업 등이 줄었으나 서비스업 등이 늘었다. ▲ 서비스업 1.8% ▲ 건설업 0.2% ▲ 전기가스수도업 -0.5% ▲ 제조업 -1.1% ▲ 농림어업 –6.4% 등의 성장률을 보였다.

서비스업 가운데서는 운수업(9.8%), 문화·기타(9.0%), 도소매·숙박음식업(2.2%)의 상승 폭이 컸다.

▲ 경제활동별(업종별) 국내총생산(GDP). [ 한국은행 제공]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탄·석유제품 등 수입품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교역 조건 악화로 1.0%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실질 GDI는 전분기 대비 0.5% 증가했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국내경제의 생산활동 동향을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산정에 이용되는 지표이고,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