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주요국 대비 신규진입률-순위-순이익 모두 낮아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2 14:14:00
  • -
  • +
  • 인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지난 10년간 세계 2000대 기업 명단에 신규진입한 한국 기업의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美 경제지 포브스(Forbes) 에서 발표하는 ‘2024 세계 2000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은 61개 등재되어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영국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한국 기업 61개 중 10년전인 2014년 명단에는 없었던 신규진입 기업은 16개였으며, 비율로는 26.2%였다.

 

▲ 그래픽=대한상공회의소

 

전체 2000대 기업 중에서는 33.8%인 676개가 신규진입 기업이었으며, 기업 수 상위 10개국 중에서는 중국(59.3%), 인도 (42.3%), 미국(37.5%) 순으로 신규기업 진입률이 높았다. 반면 한국은 전체 평균보다 신규진입률이 낮았으며, 순위로도 10개국 중 7위였다.

 

산업별로 10년간 신규진입률을 보면 IT 소프트웨어가 61.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비즈니스 서비스 53.9%, 금융투자 45.3%, 헬스케어 43.6%, 유통 40%, 제약 38.3% 등 주로 첨단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업이 많이 등장했다. 반면 철강·소재(23.1%), 석유·가스(17.7%), 통신(12.5%) 등에서는 신규 진입률이 낮았다.

 

해당 연구는 미국의 경제지 Forbes에서 매년 발표하는 ‘Global 2000’의 명단을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이며, '24년 자료는 5월 17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6월에 발표되었다. Global 2000 명단은 기업의 매출, 순이익, 자산, 시가총액을 종합해 선정, 순위가 미겨지는데, 이는 글로벌 시장 내 기업의 위치를 보여주는 종합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국가별 기업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 대부분은 2000대 기업 중 하위 순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기업 순위 분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기업 61개 중 9개인 14.7%만이 상위 500등 안에 포함됐다. 이는 중국, 일본, 미국 등 기업 등재 수가 많은 국가들 뿐 아니라, 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 적은 독일(50개) 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반면 1001~2000등에 들어간 기업의 비중은 우리나라가 60.7%로 주요국 중에 가장 높았다.

 

상위 500등 내에 있는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기업이 약 1/3인 176개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인도, 스위스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9개로 주요 10개국 중 가장 적었는데, 이는 총 등재기업 수로는 6위를 기록한 것에 비해 저조한 수치였다.

 

대한상의는 “독일의 등재 기업 수는 50개로 우리나라보다 11개 적지만 500등 이내 기업은 18개로 우리나라보다 두배 많았으며, 독일의 상위권 기업에는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 외에도 IT, 기계,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은 글로벌 기업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순이익도 우리나라가 주요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재 기업 수로는 한국이 61개로 6위 였으나, 국가별 등재 기업의 순이익을 모두 합한 전체 순이익 규모는 우리나라가 649억달러로 전체 12위로 떨어졌다. 이는 미국(순이익 1.8조달러), 중국(6021억달러), 일본(2790억달러) 뿐 아니라, 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 적은 캐나다(1104억달러), 독일(1017억달러), 프랑스(1439억달러) 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또한 국가별 등재기업의 평균 순이익(국가별 순이익 합계÷기업 수)을 계산해보면 우리나라는 10.6억 달러로 주요 10개국 중 가장 낮았으며, 전체 평균인 22.5억 달러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우리나라 등재기업 61개 중 순이익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은 44개로 72.1%였는데, 이는 2000대 기업 중 같은 순이익 구간에 있는 기업의 비중이 52.6%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이며, 미국 48.5%, 중국 60.4%등과 비교해도 높았다. 반대로 순이익 20억달러 이상 구간의 한국 기업 비중은 11.5%에 불과했는데, 이 또한 전체의 26.1%, 미국의 30.4%, 중국의 19.3%에 비해 낮아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에 수익성이 높은 글로벌 기업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