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 '생과일 스무디' 본격 확대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1 14:21:18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여름 시즌을 맞아 ‘생과일 스무디’를 본격적으로 확대 도입한다. 오는 6월부터 전국 점포에 순차 도입하며, 편의점 디저트 시장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1일 GS리테일에 따르면 생과일 스무디는 지난해 12월 국내 최초로 직영점에 처음 선보인 후, 올해 3월 개최한 상품전시회를 통해 전국 경영주들에게 공개됐다. 이어 4월부터는 다양한 상권의 10여 개 점포에서 약 8주간의 테스트 운영을 거쳤다.

 

▲ <사진=GS리테일>

 

테스트 결과, 스무디는 하루 평균 점포당 20잔 이상이 판매됐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역세권 및 오피스 상권에서는 30잔을 넘는 성과를 기록했다. 소비자 연령층도 트렌드에 민감한 2030 고객들이 60% 이상을 차지했으며, 40대 이상 고객들에게도 높은 호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GS25는 6월부터 7월까지 전국 약 100여 개 점포에 생과일 스무디를 우선 도입하고, 점차 운영 매장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생과일 스무디 도입을 통해 고객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점포에는 신규 수익 모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S25는 스무디 도입을 위해 편의점 특성에 맞는 전용 기기와 상품(냉동컵과일)을 개발했다. 해당 기기는 점포의 운영 편의를 위해 자동 세척 기능이 탑재됐으며, 직관적인 터치스크린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고객이 냉동 컵과일에 부착돼 있는 QR스캔 후 기기에 넣기만 하면 약 1분 이내로 스무디가 완성되는 방식이다.

 

현재 운영 중인 스무디는 △망고 바나나 △딸기 바나나 △딸기 블루베리 망고 △그린 스무디 등 총 4종이며, 가격은 3,000원이다. GS25는 향후 프라푸치노, 셰이크류, 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신메뉴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GS25는 그간 카페25(원두커피), 치킨25(즉석 치킨), 호빵, 군고구마, 즉석어묵 등 다양한 상품을 통해 편의점 업계의 차별화를 선도해 왔다. 23년에는 붕어빵, 24년에는 고피자 도입으로 주목받은 데 이어, 이번에는 스무디 기기를 통해 새로운 계절 디저트 카테고리를 확장하게 됐다.

 

이인규 GS리테일 뉴포맷운영파트 매니저는 “시범 운영과 상품전시회를 통해 고객과 경영주 모두에게 생과일 스무디의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신메뉴 다변화와 운영점 확대를 통해 사계절 내내 사랑받는 디저트 상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신세계면세점, ‘DANCE THROUGH GOLDEN DAYS’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면세점이 추석 및 가을 시즌을 맞아 오는 10월 16일까지 ‘DANCE THROUGH GOLDEN DAYS’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먼저, 온라인몰과 모든 오프라인 매장에서 열리는 특별 기획전에서는 소중한 가족 선물로 적합한 다양한 브랜드 제품들을 최대 60% 할인가에 선보인다. 최근 아르헨티나 니치 향수로 주목받

2

빵이 부풀 때마다 제 꿈도 함께 부풀어요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고용노동부와 강원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가 주관하는 제42회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가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강릉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에는 웹마스터,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각디자인, 제과제빵 등 정규직종 19개, 시범직종 12개, 레저 및 생활기능 직종 9개 등 총 40개 직종에 전국 17

3

오늘의집, ‘2025 오늘의집 디자인어워드’ 팝업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늘의집은 오는 10월 13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오프하우스 쇼룸에서 ‘2025 오늘의집 디자인어워드’ 팝업을 연다고 15일 밝혔다. 올해는 총 380여 개 브랜드의 4만3000여 개 제품을 대상으로 오늘의집 유저 투표와 업계 전문가 10인의 심사를 거쳐 ‘올해의 디자인’ 140여 개가 최종 선정됐다. 이번 팝업은 수상작을 직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