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계 일군 김선동 전 에쓰오일 회장 영면

메가경제 / 기사승인 : 2024-08-12 15:12:38
  • -
  • +
  • 인쇄
이란 등 투자 이끌며 국내 정유산업 전성기 토대 마련
2008년부터 가난의 대물림 막기 운동 전개한 시대의 표상

한국 정유산업을 선진화를 이끈 김선동 전 에쓰오일 회장이 영면에 들었다. 향년, 82세. 고인은 서울대 화학공학과 졸업생(59학번)으로 1963년 대한석유공사(SK에너지 전신) 공채 1기로 입사하며 정유 산업과 인연을 맺었다.  

▲ 김선동 전 에쓰오일 회장 (사진=에쓰오일]

김 전 회장은 김성곤 쌍용그룹 회장이 총애했던 인재로 쌍용정유(현 에쓰오일)의 설립과 성장을 주도했던 정유계의 살아있는 신화다. 무엇보다 30대 부장 신분으로 이란의 국영회사를 설득해, 합작투자를 이끈 것은 업계에서 지금도 회자되는 일화다.

1991년 쌍용정유 대표로 취임했는데, 곧 이란 자본이 철수하자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를 우군으로 만들었다. 고인은 이후 아람코에 회사 지분 35%를 넘기고 4억 달러의 투자와 20년 원유 장기 공급을 보장받았다. 매해 흑자 경영을 달성했고, 1996년에는 금탑산업훈장도 수상했다. 김 전 회장은 2000년 3월, 쌍용정유를 에쓰오일이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그는 40년이상 정유업계에 몸담으여 국내 정유산업의 전성기를 이끈 선구자로, 정유사 최장수 전문경영인 대표로서 발자취를 남겼다.

정유인으로서 그의 철학은 “다른 정유사가 가격을 올릴 때 반대로 가격을 내려, 좀 더 많은 사람이 저렴한 가격으로 혜택 받길 바란다”는 마음에 담겨있다.

김 전 회장은 2008년부터 빈곤의 대물림을 막자는 취지로 미래국제재단도 설립하는 등 사회봉사활동에도 전력을 다한 큰 별이었다.

유족으로는 부인인 손현경 여사(남편상), 자녀로는 김대현, 김수현, 김주현(부친상) 씨, 함애리 씨(시부상), 이재현, 양재형 씨(장인상)이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31호(전화 02-2258-5979)에 마련되었고, 발인은 2024년 8월 15일(목) 오전 8시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홈쇼핑, 고객 라이프 스타일 맞춘 실용 패션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홈쇼핑은 오는 17일까지 ‘패션 이즈 롯데(Fashion is Lotte)’ 특집전을 열고, 가을/겨울 신상품을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특집전은 고객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패션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단독 브랜드의 차별화 상품을 집중 공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최근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은 ‘실용 소비’를 반영해 지

2

모두투어, ‘GOLDEN SALE FESTA’ 프로모션 실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모두투어는 다가오는 가을·겨울 시즌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고객을 대상으로 풍성한 혜택을 담은 'GOLDEN SALE FESTA' 프로모션을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오는 10월 15일까지 약 5주간 간 진행되며, 가을부터 겨울까지 시즌별 인기 해외 여행지를 비롯해 국내외 전 지역 여행 상품을 아우른다.

3

CJ프레시웨이, 업계 최초 급식 마케팅 솔루션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프레시웨이가 급식사업을 활용해 제휴사 고객에게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타깃 플랫폼(Target Platform)’을 선보였다고 8일 밝혔다. 타깃 플랫폼은 급식 공간을 단순한 식음 서비스 장소가 아닌, 브랜드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오프라인 마케팅 채널로 확장한 서비스 모델이다. CJ프레시웨이는 전국 단체급식 사업장과 식자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