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이버대, 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이상원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15:44:46
  • -
  • +
  • 인쇄
‘일본의 국가안전보장전략과 한반도 정책’ 주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통일안보북한학과와 통일디딤돌연구원이 오는 16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국제정치 및 안보 분야의 저명한 해외 전문가를 초청한 '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 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 포스터 [사진=서울사이버대학교]

이 행사는 글로벌 시각에서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를 조망하고, 국제사회 속 한국의 전략적 입지를 심층적으로 모색하는 자리로 기획됐다.

이번 세미나는 일본 도쿄 쓰다주쿠대학의 박정진 교수를 초청해, ‘일본의 국가안전보장전략과 한반도 정책’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일본의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과 그 영향력, 그리고 일본의 한반도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조명할 예정이다.


박정진 교수는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북아 평화와 안보, 한일 관계와 북일 관계의 역사, 일본의 대내외정책과 한반도 정책, 북한 외교전략 등에 대한 많은 연구와 학술적 자문의 경험을 갖춘 일본 내 대표 한국 출신 국제정치학자이다. 

 

대표 저서로는 ‘日朝冷戦構造の誕生 1945−1965’, ‘日韓関係史 (政治) 1965−2015’, ‘The Dismantling of Japan's Empire in East Asia: Deimperialization’ 등이 있다.

이번 초청 세미나는 박정진 교수의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지정된 토론자의 논평이 이어지며, 이후 참석자 전원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질의응답 및 토크쇼 형식의 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학술적 깊이와 실천적 토론을 병행하는 형식으로 구성돼 이론과 현실을 연결하는 의미 있는 공론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학교 측 관계자의 설명이다.

서울사이버대 통일안보북한학과와 통일디딤돌연구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서 일본을 비롯한 해외 학자들과의 지식 교류를 통해 국제정세 속 한반도 현안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경청하고, 학제 간 융합적 시각에서 통일과 안보, 외교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해 서울사이버대 통일안보북한학과의 학술적 플랫폼(platform) 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사이버대는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한반도 통일안보 환경 속에서 국가안보와 통일의 근본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발전적인 해법을 모색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한다는 목표 하에 2024학년도에 통일안보북한학과를 개편했다.

한편, 서울사이버대는 오는 14일까지 2025학년도 하반기 2차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빙그레, 23년 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빙그레가 23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을 검토한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이달 수요예측을 거쳐 오는 26일 50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회사채 발행을 계획 중이다. 최대 1000억원까지 추가 발행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빙그레는 지난달 20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 송연리에 위치한 빙

2

강원랜드,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참여기업 공모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 직무대행 최철규)는 청년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폐광지역 이전과 기업성장을 지원하는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선발 공모가 8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강원랜드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광해광업공단, 지방시대위원회

3

KT알파 쇼핑,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알파 쇼핑이 8일부터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KT알파 쇼핑은 9월 30일까지 10% 할인쿠폰 매일 증정, 골드코인 경품 추첨 등을 실시한다.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통해 추석 대상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10% 할인쿠폰을 지급한다. 프로모션 기간 내 매일 쿠폰이 발행돼 1일 1회 사용 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